대다수 국민들은 현 의약분업 제도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전면개
정을 넘어 폐지, 선택적 분업 등 특단의 조치를 희망하는 국민도 상당수 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 이원형(한나라당) 의원은 최근 전문기관에 의뢰, '의약분업 평
가'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대다수 국민들은 의약분업의 혜택이 별로 없고 그전
보다 오히려 의료비가 가중됐다고 느끼고 있다"고 22일 주장했다.
만20세 이상 전국 성인 남녀 1천28명을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통해 지난 15일부
터 이틀간 실시(포본오차 95%에 신뢰수준 ±3.06%)된 조사결과에 따르면 의약분업의
정착정도를 묻는 질문에 '시행착오를 겪고있다'가 72.3%, '전혀 정착되지 못하고 있
다'는 17.2%, '무리없이 정착됐다'는 10.2%로 각각 나타났다고 이 의원은 말했다.
의약분업 시행에 따른 최대 수혜자를 묻는 질문에는 약사가 41.6%, 의사가 38.3
%인 반면 제약회사와 국민은 각각 13.2%와 3.7%에 그쳤다.
의약분업의 최대성과랄 수 있는 오.남용 방지효과를 묻는 질문에도 '효과가 없
었다'가 49.6%로 '효과가 있었다'(38.8%)를 상회했다.
의약분업 시행 이후 가장 큰 불만사항으로는 '가벼운 증상에도 병원에 가야 한
다'가 45.4%, '병원, 약국을 다 들러야 해 복잡하다'가 35.3%, '의료비 지출이 늘었
다'가 13.3%, '약국이 멀어졌다'가 5.4%였다.
의약분업의 제도적 개선방안으로는 '부분적 보완 필요'가 56.1%로 가장 높았으
며 전면폐지(21.1%), 선택적 분업(14.4%)도 상당부분을 차지했다.
의료비 지출의 변화를 묻는 질문에 '높아졌다'는 응답이 73.2%로 대다수를 차지
했으며 '별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24.2%, '줄었다'는 답은 2.2%에 불과했다.
의료기관 이용의 불편 정도에 대해선 '익숙하나 불편하다'가 52.1%로 다수였으
며 '불편이 없다'가 21.8%, '매우 불편하다'가 6.0%였다.
의료혜택에 있어서는 '별다른 변화가 없다'가 53.8%, '더 나빠졌다'가 36.1%로
'이전보다 더 좋아졌다'는 9.4%를 압도했다.
이 의원은 "국민들이 보다 편리하게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가장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정치2부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