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편 사후에 출생한 아이는 냉동보관한 남편의 정자를 이용해 임신, 출산했더라도
죽은 남편의 자식으로 인정할 수 없다는 판결이 나왔다.
일본 마쓰야마(松山) 지방법원은 12일 남편 사후에 냉동보관했던 남편의 정자를
이용, 체외수정을 통해 아이를 출산한 40대 여성이 신청한 부자(父子)관계 인정신청
을 기각했다.
우에하라 히로유키(上原裕之) 재판장은 판결문에서 "이런 방법으로 태어난 아이
를 정자제공자의 자식으로 인정하는 데 대해 사회적 인식이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따라서 "법률상 부자관계를 인정하기가 주저된다"고 밝혔다.
법원은 또 "남편이 자신이 죽은 후의 체외수정에 동의했다는 사실을 인정할 수
없다"고 밝혔다.
소송을 제기한 여성은 남편이 1999년 병사한 후 생전에 냉동보관했던 남편 정자
를 다른 병원으로 옮겨 체외수정한 후 2001년 또 다른 병원에서 남자아이를 낳았다.
이 여성은 남자아기를 죽은 남편과 사이에서 태어난 아이로 출생 신고했으나 행정
당국이 신고를 받아주지 않자 소송을 제기, 대법원까지 갔으나 기각당했다.
이 여성은 아이의 아버지란을 공란으로 한 채 출생신고를 한 후 작년 6월 마쓰
야마 지방법원에 사후 부자관계 인정신청을 냈었다.
일본 민법은 임신후 남편이 사망하는 경우는 상정하고 있으나 남편 사후의 임신
에 대해서는 규정하지 않고 있다. 또 불임치료를 목적으로 한 경우에도 남편 사후에
는 정자를 폐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도쿄=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