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건축, 부동산, 사회간접시설(SOC) 등의 수요 폭발로 철강, 시멘트 등 원
자재 가격이 급등하면서 품귀현상을 빚고 있다.
10일 중국의 관련업계에 따르면, 작년에 t당 436달러하던 냉연코일 가격은 최근
489달러로 12% 올랐다. 열연 코일도 t당 367달러로 비슷한 수준의 인상률을 보였다.
시멘트는 작년 벌크 t당 22~23달러 하던 수출 가격이 최근 33~35달러로 올랐다.
국내가격은 260위앤(元 약 4만원)에서 280위앤으로 인상됐으나 곳곳에서 부족사태를
겪고 있다.
◆철강= 작년 세계철강 수요의 4분의 1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철강 수요가 총 2
억6천만t으로 전년에 비해 26%나 급증했기 때문이다. 중국 철강 생산도 작년에 2억2
천만t으로 전년대비 21% 증가했지만 연간 3천만~4천만t의 수요 초과 현상은 해소되
지 않고 있다. 포항제철의 연간 생산량이 2천890만t임을 감안하면 중국 철강 생산과
수요공급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포항제철은 작년에 중국에 250만t을 수출했고, 현지 합작공장에서도 100만t을
생산하며 전액 판매, 가격 인상 덕분에 수익성이 커졌다.
중국에서 철강 수요가 폭발하고 있는 것은 건축, 자동차, 조선, SOC 등 철강을
필요로 하는 산업이 호황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은 철강 수요에 대처하기위해 세계의 철광석을 블랙홀처럼 빨아 들이면서
철광석 가격을 올려 놓았고, 해상 운임도 덩달아서 t당 8~9달러에서 30달러로 껑충
뛰었다.
철강은 가격이 오르면서 품귀 현상을 빚고 있다. 중국에서 건설업을 하는 박호
상(朴浩相)씨는 3년전 t당 2천200위앤(元.약 33만원) 하던 철근 가격이 최근 두 배
인 4천400위앤으로 올랐고, 그나마 물건 확보도 어렵다고 말했다.
포철의 중국 지주회사인 포스코 차이나의 김동진(金東震) 사장은 올해 중국 철
강 수요를 2억8천만~2억9천만t으로 전망하고 중국 철강 수요 폭발 현상은 당분간 지
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중국 정부는 철강, 시멘트 가격등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이 분야에 대한 투
자가 과열 조짐을 보이자 9일 '철강업 맹목 투자 제지에 관한 의견'을 발표, 과열
투자 제지에 나섰다.
◆시멘트= 중국의 작년 시멘트 생산은 9억t에 수요는 내수 7억9천만t에 수출 54
0만t으로 통계상으론 균형을 이루고 있지만 물류난 등의 이유로 부족을 겪고 있다.
한국의 시멘트 시장은 약 7천만t으로 중국의 약 10분이 1 규모이다.
특히 올들어 남부 지방에 가뭄으로 수력 발전이 제대로 안돼 시멘트 공장 가동
률이 떨어지면서 품귀현상을 부채질하고 있다.
시멘트 수요가 증가하면서 대우 인터내셔널이 산둥(山東)성 쓰수이(泗水)에 투
자한 시멘트 공장은 작년에 240만t 연간 생산 시설에서 320만t을 생산, 7천만달러의
판매에 1천만달러의 이익을 올렸다.
대우 시멘트 공장은 당초 생산량의 80~90%를 수출해오다 중국 국내물량이 달리
자 내수 비중을 50%로 올렸다.
대우 인터내셔널의 박근태(朴根太) 상무는 중국 시멘트 등 원자재 시장 호황이
당분간 지속되겠지만 과열경기 우려된다고 말했다.(베이징=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