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회담 상설화, 공동발표문 담아내야

어제 중국 베이징에서 개막된 2차 6자 회담이 미.북간 시각차로 원점을 맴돌았다.

북한은 핵 사태가 미국의 적대정책에서 비롯된 것인 만큼 미국의 적대정책 철회가 우선돼야 함을 강조했다.

또 핵심 쟁점인 고농축 우라늄 핵 계획의 존재를 부인하고, 리비아 식 핵 포기도 거부했다.

반면 미국은 94년 제네바 협정을 위반한 것은 북한이라며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돌이킬 수 없는 핵 폐기'(CVID)가 선행돼야 함을 강조했다.

증거가 분명히 드러난 우라늄 핵도 폐기대상에 포함돼야 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평행선을 달린 양측 주장에도 불구하고 북한이 이번 회담에 전향적인 자세로 나오고 있다는 게 그나마 다행스런 변화다.

핵 폐기 가능성을 열어두고 미국이 무엇을 해줄 수 있느냐를 물은 점에 특히 눈이 간다.

한국과 중국의 중재와 압력이 다소간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나 하는 짐작을 해보게 된다.

이번 2차 회담에서 핵 사태의 전기를 마련한다는 것은 지나친 기대일 것 같다.

중국의 희망대로 미.북의 공통분모를 공동발표문으로 담아낼 수 있다면 다행일지도 모른다.

회담의 장기화에 대한 대비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이점에서 한국 측 이수혁 수석대표가 6자 회담을 두 달에 한 번씩 갖고, 회담과 회담 사이에 실무회담을 열자고 제안한 것은 적절했다고 생각된다.

현재로서는 북한과의 대화와 협상 기회를 늘리는 외의 다른 방안이 없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번 회담의 우리측 목표는 '회담의 상설화와 실무회담'을 공동발표문에 구체화시키는 일이다.

1차 회담에서 2차 회담까지 6개월이 걸린 것을 감안하면 그 의미를 과소평가 할 수 없다.

어차피 핵 사태가 시간과의 싸움이라면 논의를 지속화.활성화시키는 것이 최선의 대책이다.

우리 대표단은 이런 인식을 널리 이해시켜 이번 제의가 현실화될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북한이 '자위적 핵 개발'을 포기하지 않는 한 남북관계나 국제관계에 근본적 진전이 없을 것이라는 점을 재인식시켜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