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천 농업기술센터 이전 논란

영천시 농업기술센터가 신관 이전과 매각, 제2신관 이전 계획 등을 되풀이하며 수년째 사옥 이전문제를 매듭짓지 못해 과수와 한약재 생산 등 농업에 기반을 둔 지역 영농연구의 허브기능에 차질을 빚고 있다.

◇반복되는 이전

영천시 농업기술센터는 지난 1998년 10월 영천 금노동 옛 사옥에서 대구~포항 고속도로 북영천IC 인근인 화남면 신호리에 건립한 신관으로 이전했다.

옛 사옥은 품종개량 연구에 필요한 시험연구포장(圃場)부지가 좁은 데다 도심과 가까워 밤에도 불빛이 새어들어 농작물 연구관리에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당초 전체면적(9천300평)이 옛 사옥에 비해 2배 가량 넓고 차량·도심 불빛도 적을 것으로 평가했던 신관은 고속도로 옆이어서 부적합한 터로 최종 판정돼 영천시는 지난 5월 한국도로공사에 40억원을 받고 건물을 팔았다.

농업기술센터는 이후 영천시 오미동에 제2신관을 짓기로 하고 다시 옛 사옥으로 돌아왔다.

이와 관련, 센터 측은 "옮겨갈 당시에는 대구~포항 고속도로의 개설계획이 없어 어쩔 수 없었던 일"이라고 해명하고 있지만 도로공사 측은 "이미 도로개설 고시가 완료됐던 내용"이라는 상반된 주장을 펴고 있다.

◇공사비 늘어 시민 부담 가중

당초 영천시는 시 소유인 옛 사옥을 매각할 계획이었지만 외환위기 영향으로 차질을 빚다 옛 사옥 내에 농업인회관을 신축하는 바람에 매각계획 자체가 무산됐다.

이로 인해 오미동 제2신관이 완공되는 내년 이후에는 구관은 활용방안이 없어 당분간 흉물로 방치될 공산이 커졌다.

더욱이 1만2천평 규모인 오미동 제2신관은 공사비가 엄청나게 늘어 기존에 상정한 건축비로는 턱없이 부족할 것으로 보인다.

철근과 유가 인상·환율 하락 등으로 표준건축비가 26% 상승, 평당 360만원으로 계획했던 건축비가 500여만원으로 늘어 제2신관 건축비는 당초 70억원 가량에서 최소한 80억원 이상 필요할 전망이다.

시는 이에 따라 신호리 신관 매각대금 40억원과 국비 9억원, 시비 5억원을 확보한 뒤 부족분은 시비로 충당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시민의 혈세부담 증가와 시비 운용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포도농사를 짓는 조모(53·영천시 원제리)씨는 "FTA 체결로 농산물이 전면 개방되면서 품질 고급화 등 농업기술센터의 역할이 커졌는데 수년째 이전문제에만 매달려 갈팡질팡하고 있다"며 "신축건물만 고집하지 말고 사무실과 포장연구단지를 분리하는 방법도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수원 영천농업기술센터 소장은 "옛 사옥을 농업전시장 등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면서 "위치선정 차질로 어려움이 많지만 예산확보를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영천·이채수기자cslee@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