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시의회, 대구시 상대 시정질문 벌여

대구시의회(의장 장경훈)는 17일 제168회 임시회를 열어 대구시를 상대로 브랜드 택시 조기 정착 방안, 테크노폴리스 이주민 대책 등을 놓고 시정질문을 벌였다. 다음은 질문요지.

▷권기일(동구) 의원=브랜드택시의 경우 선불교통카드 불사용 결제시스템, 검증되지 않은 통신방식 조기 도입, 초고가 내비게이션 채택 등이 문제가 되고 있고, 콜택시 관련 특허가 없는데다, 콜센터 관련 운영 경험과 기술도 없는 등 선정 과정에서 의혹이 제기됐다. 브랜드택시 사태 해결과 조기 정착을 위한 수습위원회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김영식(달성군) 의원=테크노폴리스 조성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선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한데 시와 토지공사는 주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반영하지 않은 채 개발계획을 무리하게 추진, 주민들의 반발을 불러오고 있다. 이주민을 위한 실효성 있는 이주·생활대책을 추진하고, 영세민 지원대책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 이에 대한 시의 방안은 있는가.

▷이재술(북구) 의원=북구 검단동 옛 물류단지 예정지가 대구종합물류단지 타당성 용역 결과 사업 타당성이 없는 것으로 판명된 바 있다. 하지만 최근 봉무산업단지(이시아폴리스)가 조성되는 등 주변 여건이 많이 호전되고 있음에 따라 물류단지예정지와 검단 IC 활용방안을 재검토할 필요성도 있다고 판단된다. 시의 의견을 밝혀달라.

▷이윤원(동구) 의원=도시재정비촉진을 위한 특별법이 지방도시의 실정에 맞지 않아 효과가 반감되는 등의 제도적 문제점을 안고 있다. 도시재정비촉진조례, 도시계획조례, 시세감면조례 등 관련 자치 조례를 재검토하고, 불필요한 규제를 바꿀 의향은 있는지 궁금하다. 동대구 제정비촉진사업도 같은 맥락에서 실효성 있게 접근해야 할 것이다.

▷이동희(수성구) 의원=현재 버스 운행은 간선버스와 지선버스 위주로 운영되고 있어 교통취약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의 경우 버스가 있는 간선도로까지 나와야 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통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마을버스를 도입하는 것이 시급하다. 마을버스 도입은 교통약자의 권익 보호와 시민들의 편리성 증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이종규기자 jongku@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