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용한 산골동네 음지마을과 양지마을이 서로 쳐다보면서 며칠 전부터 굴뚝에서 하얀 연기가 모락모락 피어오르고 어머니의 마음과 손길은 바쁘다.
난 아버지 따라 뒷산에 올라 반질반질 토끼가 지난 길을 따라 가는 철사로 둥글게 만들어 소나무에 매어 둔 덫을 찾아다니며 두어 마리의 산토끼를 잡아 내려오는 길에 운 좋게 덤으로 논두렁에서 약 먹은 꿩도 한 마리 줍는다. 뒤뜰에 구덩이 파서 겨울 내내 묻어 놓았던 배추랑 무도 꺼내 솥뚜껑 뒤집어 걸어 놓고 들기름으로 배추전도 부치고 무는 돔방 돔방 썰고 생강은 절구에 빻고 고들고들 찹쌀 밥 지어 고춧가루와 당원을 넣어 따뜻할 때 질금 물에 모든 재료를 섞어 하루 정도 삭히어 찬 곳에 두면 새콤 달콤 매콤한 안동 특유의 식혜가 겨울 내내 변질 없이 가슴을 시원하게 한다. 처음엔 못 먹겠다던 사위들이지만 지금은 술 한잔과 꼭 먹고 싶다며 안동식혜를 찾아 해마다 식혜를 만드신다.
섣달 그믐날, 큰집 오빠 내외가 담근 동동주와 안주 한 상을 들고 와 묵은세배를 하고 나면 새해 아침 일찍 떡국을 끓여 마당에 멍석을 깔고 문밖 세배를 올린다. 어머니는 어제의 답례로 그저께 만들어 놓은 살얼음이 동동 뜨는 식혜에 땅콩 한 줌 듬뿍 넣어서 메밀묵이랑 차려오시고 덕담이 끝나시면 남동생을 깨워 큰집이랑 옆집에 다녀오라고 하셨다.
새해 아침 여자가 일찍 오면 일 년 내내 재수가 없다는 속설이 있기에 그날만큼은 어린아이라도 남자가 가면 한 상 차려 대접해 주었다.
세배와 차례가 끝나고 흰 떡국을 배불리 먹고 나면 동네 개구쟁이 모두 집 앞 얼음판에 손수 만든 앉은뱅이 썰매와 팽이를 들고 지칠 줄 모르고 놀다 보면 엉덩이는 축축하고 양말은 물속에 빠져 모닥불에 언 발을 녹이다 설빔으로 사준 빨간 나이롱 양말은 돌이킬 수 없도록 구멍이 뻥 뚫려 혼이 났다.
요즘 아이들은 설날이 되면 누가 세뱃돈 얼마나 받는지 관심뿐이지만 어렵던 시절 세뱃돈이 무엇인지 모르고 배불리 먹을 수 있고 빨간 내복 한 벌 얻어 입을 수 있다면 금상첨화였다.
나이롱 양말 대신 멀쩡한 양말을 유행 지났다고 아무리 버려봐도 그때 꾸중하시던 아버지는 보이지 않고 한 상 그득 차려 놓아도 사진 속에서 무언의 대답으로 웃고 계실 뿐이다.
눈꽃이 지고 뾰족한 새싹이 움틀 무렵 잡초만 무성하다는 고향집 마당도 구석구석 더듬어 보고 지금은 하나 둘 먼 곳으로 가시고 얼마 안 계시는 일가 친척 분들 "아제 오랜만이시더 잘 있었능교? 아지메는 하나도 안 늙었니껴" 정겨운 고향 사투리도 실컷 하고 홀로 외로이 고향 지키시는 아버지 산소에 뽀얀 쌀 떡국에 이제껏 미뤘던 마음의 세배를 오십이 되어서야 두 손 올려 한없이 드리고 싶다.
이숙흠(대구 수성구 만촌2동)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