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울진원전 폐기물 관리 비상…포화상태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울진원전과 한국수력원자력(주)이 원전 폐기물 관리 비상에 걸렸다. 울진원전 임시저장고에 보관하고 있는 중·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이하 방폐물)이 머지않아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원전 가동을 중단해야 하는 초유의 사태까지 우려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수원은 올 6월부터 두 달간 1천 드럼을 우선 경주 방사성폐기물처분장내에 마련된 임시 지상 인수저장시설로 옮기기로 했었다. 하지만 현재 건설 중인 방폐장 부지에 대규모 연약지반이 확인됨에 따라 공기를 2년 6개월 정도 늦출 수밖에 없다는 방폐물관리공단의 입장 표명에 경주시가 임시 저장시설 사용불가를 주장해 폐기물 운송 자체가 어렵게 됐다. 여기에다 최근 원전 주변 어민들이 방폐물 선박 운송에 따른 어업 손실 보상 등을 주장하고 나서 문제가 더 꼬이고 있다.

◆포화상태에 놓인 울진 저장고

6개 호기가 가동 중인 울진원전 임시 저장고 용량은 1만7천400드럼. 저장고를 채운 방폐물은 지난해 말 기준으로 1만5천329 드럼으로 용량의 88.1%나 찼다. 울진원전 측은 포화상태에 대비, 올해 발생분은 모두 각 발전소 안에 임시 보관하고 있는 상태다.

각 호기 당 연간 약 200드럼의 방폐물 발생하는 것을 감안하면 전반기만 이미 600드럼이 발생, 90% 이상의 저장률을 보이고 있는 셈이다. 이 상태라면 연말이면 포화상태에 이른다는 게 울진원전 측의 설명이다.

◆경주 방폐장 건설 지연과 운반 차질

한수원은 울진원전의 시급성을 고려해 방폐물을 전용 운반선인 청정 누리호(2천600t급)에 선적, 경주까지 9시간에 걸친 해상운송을 통해 7월 1일 반입 저장하는 시범 운영을 시작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경주시가 임시 지상 인수저장시설 사용취득 허가 불가 입장을 보이고 있어 계획 자체가 보류 상태다.

경주시는 최근 방폐물관리공단이 현재 경주 양북면에 건설 중인 방폐장 부지에서 대규모의 연약지반이 확인됨에 따라 보강작업과 지하수 차단 문제 등으로 당초 완공시기인 2010년 6월보다 2년 6개월 늦어진 2012년 12월에 완공될 것이라고 밝히자, 안전성을 이유로 지상 인수저장시설 사용허가를 불허하고 있는 것.

◆엎친데 덮친 어업손실보상 요구

경주시를 상대로 한 민원 해결만도 벅찬 터에 폐기물 해상운송을 두고 울진원전 주변 지역 어민들까지들고 일어나 더욱 곤혹스러운 상황에 처했다. 어민들이 폐기물 해상 운송과 관련, 한수원 측에 주민설명회 개최를 요구하며 선박의 예상 항로 지정요구와 이에 따른 어업 손실 피해 보상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이에 앞서 경주 월성원전 주변 어민들도 지난해부터 운송항로 결정과 어업피해보상을 요구하며 폐기물 운송과 반입 자체를 반대하고 있다.

◆한수원의 입장

한수원은 연말까지 무조건 문제를 해결한다는 공식 입장만 밝히고 있다. 하지만 경주 문제가 장기간 해결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해 발전소내 보관량을 늘리는 방안과 임시 저장고를 더 짓는 방안 등을 내부적으로 검토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어민들의 요구에 대해선 현실적으로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울진·황이주기자 ijhwan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