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李대통령 직접 '세종시 수정안' 발표 검토

대국민 여론전 전면에 나설 가능성, 여권도 지지여론 확산에 사활걸 듯

신년 정국이 '세종시 정국'으로 빠져들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세종시 수정안 발표에 나서는 등 대국민 여론전 전면에 나설 가능성이 제기될 정도로 세종시 수정안을 둘러싸고 정국이 하루가 다르게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세종시 수정안 발표 D-데이는 11일. 청와대와 총리실 및 한나라당의 핵심수뇌부는 10일 최종 수정안을 두고 마지막 점검을 할 예정이다. 발표에 앞선 11일 오전 한나라당 최고위원 등 당정 고위관계자들이 모두 참석, 고위당정협의를 거칠 계획이다. 앞서 주호영 특임장관이나 여권 고위인사가 '원안+α'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에게 수정안 내용을 설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주 장관은 '곤혹스럽다'는 반응이다.

세종시 수정안의 명운은 여론 반전 여부에 달려 있다. 여권은 이 대통령이 직접 대국민담화를 발표하면서 세종시 수정의 불가피성을 설명하고 사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시 총리'를 자임하고 있는 정운찬 총리가 수정안 발표 직후 고(故)노무현 전 대통령 묘소를 참배하기로 한 것은 반대여론의 예봉을 누그러뜨리기 위한 선제 행보로 볼 수 있다.

여권핵심부는 수정안 발표 후 설연휴를 전후한 시점까지 한 달 남짓 기간에 여론전을 통한 수정안 지지여론 확산에 사활을 걸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당내 반대와 야당의 반발을 무마시키면서 세종시법 개정안 처리의 동력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개정안 처리에 총대를 메야 할 한나라당은 "국회에 (개정법률안이) 오기 전에 거쳐야 할 과정이 있으면 거쳐야 한다"며 아직은 신중론이 우세하다. 충청권 여론수렴과 국민여론 반전 등이 있어야 국회에서 처리할 수 있다는 뜻이다.

김성조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세종시 수정안과 관련, 당에서 아무런 논의가 없었다"며 "연초부터 팔공산 암자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안상수 원내대표와도 얘기가 없었다"고 밝혔다.

여권수뇌부도 수정안 법안처리 시점을 확정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지방선거에서의 수도권 표심을 겨냥, 지방선거 이후 처리하는 것이 전략적으로 바람직하다는 의견까지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주 장관은 "지난해 9월에 제기된 문제로 국론이 분열되는 상황을 더 방치하는 것은 좋지 않다"고 말했다. 여권핵심부는 4월 국회까지는 매듭짓기를 희망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수정안을 두고 여론이 호전되지 않을 경우, '원안 추진으로 선회' 여부도 논란이 될 가능성이 있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