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얻는 것보다 잃는 게 더 많은 정부의 세종시 수정

정부가 세종시 수정안을 마침내 발표했다. 행정부처 이전을 백지화하는 대신 기업'대학은 물론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까지 집어넣어 세종시를 교육과 과학이 중심이 되는 경제도시로 만든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이란 배는 이제 세종시란 거대한 폭풍우에 휩싸이게 됐다. 세종시 수정에 올인하는 여당과 원안 추진을 고수하는 야당 사이에 격돌이 불가피한 것이다. 여당 내에서도 친이계와 친박계 사이에 날선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세종시 수정으로 지역 발전에 차질을 빚게 된 대구경북 등 지방의 반발도 더욱 거세질 게 분명하다.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 발표가 논란'진통의 마무리가 아닌 더 큰 갈등과 대결의 시작이란 이유에서 국민의 지대한 관심이 쏠리게 되는 것이다.

세종시 수정안을 관철하려는 청와대와 정부, 친이계 등 여권 주류의 뜻대로 세종시 수정이 원활하게 이뤄질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야당은 물론 한나라당 친박계 의원들이 수정안에 반대하고 있어 국회에서의 수정안 처리가 불가능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세종시 수정이 이뤄지든지, 반대에 부닥쳐 원안 추진으로 회귀하든지 간에 국정 혼란과 국력 소진을 피할 수는 없을 것이다.

누가 뭐래도 대구경북이 세종시 수정의 가장 큰 피해자이다. 세종시에 대기업들이 줄줄이 입주하게 된다면 2, 3년 동안 대구경북의 기업 유치는 어려워지게 되기 때문이다. 애써 조성해 놓은 산업단지는 허허벌판으로 놔둘 수밖에 없다. 대구경북이 유치에 심혈을 기울인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가 세종시로 감에 따라 지역 발전 전략 수정도 불가피하다. 15년 만에 이 지역과 연고를 지닌 정권이 탄생했다고 좋아했건만 느닷없이 세종시 암초가 나타나 지역 발전이 퇴보할지도 모를 위기에 처한 것이다. 수도권에 이은 세종시란 또 하나의 블랙홀을 만나게 된 대구경북이 어떻게 이 어려움을 헤쳐 나갈지 지역민 모두가 고민하고 그 해결책을 찾아야 할 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