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시 수정안을 두고 일부 언론이 보도한 대구경북 여론에 고개를 갸우뚱하는 사람들이 많다. 체감 민심과는 달리 세종시 수정안이 원안보다 찬성 의견이 더 높게 보도된 때문이다. 한국갤럽과 조선일보는 14일 세종시 수정안과 관련해 전국 주요 지역의 여론조사 결과를 보도하면서 대구의 경우 세종시 '수정안 찬성' 48.5%, '원안 찬성' 37.4%라고 보도했다. 수정안에 대한 이명박 대통령의 견해에 공감 여부를 묻는 질문에 '공감한다' 55.8%, '공감하지 않는다' 39.1%라고 전했다. 또 원안에 대한 박근혜 전 대표의 견해에 공감 여부를 묻는 질문에 '공감한다' 62.5%, '공감하지 않는다' 30.8%라고 보도했다. 세종시가 수정안대로 추진될 경우 대구경북이 손해 볼 가능성에 대해 '손해 볼 수 있다' 69.1%, '손해 보지 않을 것이다' 25.2%로 전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구시민들은 세종시 수정안 때문에 지역이 '손해'를 본다고 판단하면서도 수정안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대통령의 수정안에 대구시민 절반 이상이 찬성하면서도 박 전 대표의 원안에 10명 중 6명 이상이 공감한다고 답변했다. 조사결과만을 보면 대구시민들은 상당히 이율배반적으로 답변하고 있다. 일부 시민들은 수정안도, 원안도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손해'를 감수하면서도 수정안에 '찬성'하는 것으로 조사됐기 때문이다.
이처럼 모순된 답변이 나온 이유는 뭘까? 전문가들은 전국적으로 실시하는 여론조사 기관의 표본 수를 주목하고 있다. 여론조사 기관은 전국적으로 1천명 안팎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하고 있다. 각 지역별로 표본 수가 200명 안팎에 불과하다. 실제 한국갤럽도 대구시민 20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했다. 이 때문에 정확한 지역 민심을 파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대구경북의 인구 규모를 감안하면 각각 1천명은 조사해야 정확한 여론을 알 수 있고, 200명을 조사하면 표본오차도 상당히 크다"고 말했다.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타지역보다 높다는 점도 결과에 영향을 끼쳤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이 대통령의 정치적 기반인 대구경북이 수정안 반대로 인해 현직 대통령의 권위에 심각한 타격이 오는 국면을 피하고 싶다는 심리적 요인이 여론조사 결과에 반영됐다는 것이다. 여론조사에서 이 대통령의 수정안 견해에 공감한다는 여론이 절반을 넘는 것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질문 자체를 보면 수정안에 이 대통령, 원안에 박 전 대표를 결부시켜 '공감 여부'를 물어 여론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게 했다"고 말했다.
세종시특별법이 제정된 2005년의 기억이 되살아난 때문이란 분석도 있다. 당시 대구경북에서는 가까운 곳에 행정수도가 오면 지역이 얻을 경제적 이득을 뺏기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팽배했었다. 이 같은 씁쓸한 추억(?)이 세종시 원안 추진 반대 여론에 녹아들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원안을 주장하면서 대구경북의 민심도 상당히 바뀌고 있다는 풀이다. 이창환기자 lc15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