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0일 鄭총리 지역 방문…각계서 쓴소리 이어져

"세종시가 교육과학 중심 경제도시로 갈 경우 첨단의료복합단지, 국가산단 등 대구경북의 성장터전이 속빈 껍데기로 전락할 가능성이 큰 데 대해 총리는 대구경북의 절박한 사정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세종시 수정안에 대한 대구경북의 반대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정운찬 국무총리가 20일 대구경북을 찾았다. 정 총리는 이날 오전 4대강 사업이 진행 중인 대구 달성군 달성보 공사현장을 방문,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이어 대구경북지역 기관·단체장, 언론인과 대구그랜드호텔에서 오찬 간담회를 가졌다. 오후에는 구미3산업단지 도레이새한㈜과 경북 김천혁신도시를 방문했다.

정 총리는 간담회에서 대구·김천 혁신도시가 세종시 수정안과 별도로 차질 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설명했지만 지역의 반응은 차가웠다.

대구의 한 경제단체장은 정 총리에게"정부는 세종시 입주기관·기업에 주어지는 인센티브나 세제지원 등으로 다른 지방이 역차별을 받고 피해가 가지 않을 것이라고 홍보하고 있지만 그 피해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며 "정부는 지방민을 기만하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현재의 투자규모, 기능배분으로는 첨단의료복합단지의 국내외 경쟁력 확보가 곤란하다. 세종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조성원가로 기업유치에 큰 차질이 예상된다"며 "의료단지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앵커기업 유치가 절실한데 삼성 바이오시밀러(복제약), SK케미컬(백신, 혈액제) 등 앵커기업의 유치를 위해 정부가 적극 지원해달라"고 정 총리에게 건의했다. 김 시장은 이어 동남권 신국제공항 조기건설, 국가산단 및 경제자유구역 지원 확대도 건의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혁신도시, 국가공단, 경제자유구역 등에 대한 국비 지원을 확대하고, 분양가를 획기적으로 인하해 세종시와 같은 수준의 세제혜택을 부여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 지사는 ▷미래형 원자력 과학산업벨트 지정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이원화 ▷동남권 신국제공항 조기 건설 등 대구경북 역점사업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김천·김성우기자 swkim@msnet.co.kr

김병구기자 kbg@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