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달성보 '시커먼 퇴적토' 오염 기준치 논란

4대강 정비사업이 진행 중인 낙동강 달성보 공사현장에서 발견된 시커먼 퇴적층(본지 1월 26일자 7면 보도)의 토양 검사 결과를 두고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국토해양부는 "청정지역 기준 이내로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밝힌 반면 민주노동당 홍희덕 의원과 환경단체 측은 "7종류의 중금속이 검출됐으며 이 중 비소는 미국 토양기준치를 초과했다"며 공사 중단을 요구하고 나선 것.

국토부는 달성보에서 채취한 퇴적토를 국립환경과학원, 한국수자원공사 수돗물분석연구센터에서 조사한 결과 청정지역 기준 이내였다고 밝혔다. 이들은 "모든 지점의 퇴적도가 인근지역의 토양과 비슷한 분포의 농도를 보였다"며 "색깔이 검은 것은 갯벌이 검은 색을 띠는 것과 마찬가지로 토양의 색깔과 중금속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고 설명했다.

국토부는 앞으로 ▷하천 퇴적토를 2~5㎞마다 분기별로 조사하고 ▷준설토에 대한 농지 사용 여부를 정밀조사하며 ▷준설토의 토양기준 초과시 전문업체에 의뢰해 토양 정화를 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부 국회의원과 환경단체 등은 "국토부가 내놓은 결과는 일반 토양에 대한 기준인데다 우리나라에는 퇴적토 오염에 대한 기준조차 없다"고 지적했다.

민주당 김재윤 김상희, 민주노동당 홍희덕 의원은 "낙동강 달성보 준설토에서 모두 7종류의 중금속이 검출됐으며 이 중 비소(8.48㎎/㎏)는 미국 해양대기관리청의 퇴적물 기준(8.2㎎/㎏)을 초과했다"며 "우리나라 국민 90%가 강물을 식수로 사용하고 있는 만큼 식수원 오염에 대한 대책도 없이 진행되는 4대강 사업은 당장 중단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번 퇴적물 오니(汚泥·오염 물질이 포함된 진흙)토는 가물막이 내 준설 2~3m 깊이에서 발견된 것으로, 추후 준설 깊이가 깊어짐에 따라 과거의 오염 퇴적토가 더 발견된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정밀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전면적인 조사를 촉구했다. 한윤조기자 cgdream@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