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남권신공항·대기업 유치 화끈한 지원을

지역경제 현안과제는 무엇인가

"대경권이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서는 세계 경제권과 연결하는 국제공항이 필요충분조건입니다."

출범 2년을 맞은 이명박 정부가 역대 어느 정부보다 대구경북에 많은 투자를 했지만 지역 경제계는 가장 중요한 핵심 인프라는 빠뜨렸다고 지적하고 있다. 영남권 신국제공항이 그것이다.

대구경북연구원 정웅기 연구위원은 "한국 경제권과 성장축이 수도권과 충청권, 서남해안 중심축으로 개발되면서 대구경북과 경남 내륙권이 고립되고 있는 형세"이라며 "영호남권은 2천만명의 항공수요가 있고 중국 동남아는 물론 글로벌 경제권과 소통하기 위해 신국제공항이 필수적"이라고 지적했다.

대구경북이 신국제공항 건설을 요구하고 있는 것은 11개 경제자유구역, 대구·구미·포항 등 3개 국가산업단지와 대구테크노폴리스와 포항, 영천 등지의 부품소재 산업단지에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서는 접근성 강화가 전제요건이기 때문.

현재 정부는 6·2지방선거를 의식, 민감한 공항 입지선정을 선거 후로 미뤄둔 상태다. 대구시·경북도 관계자들에 따르면 정부는 지방선거 직후 공항 입지선정 평가단을 구성, 3개월여에 걸친 심사를 거쳐 연말쯤 공항 입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시도는 국가산단, 경제자유구역, 첨단의료복합단지 등에 앵커(메이저)기업 유치 지원과 대구경북 특화산업에 대한 화끈한 투자도 요구하고 있다.

대구경북이 교통접근성, 인력유치 등에서 현실적으로 수도권, 충청권에 밀릴 수밖에 없어 동일한 조건으로는 대기업 유치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지역 균형발전 차원에서 세종시와 같은 차별화한 지원을 요구하고 있는 것.

이상길 대구경북첨단의료복합단지 추진단장은 "의료단지에 메이저 기업이 들어와야 파급효과가 크고, 연관기업과 연구소 유치에 탄력을 받게 된다"며 "정부가 세종시에 기업유치를 지원하는 것에 상응하도록 첨단의료복합단지에 대한 기업 유치를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경북의 특화산업인 그린에너지와 IT융복합산업에 대해서도 연간 수백억원 규모의 지원으로는 지역 산업의 경쟁력과 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꾸기는 불가능하다.

영남대 이재훈 교수는 " 모든 지역을 같은 규모로 지원하면 특화산업이 경쟁력을 갖기 힘들기 때문에 낙후도에 다른 차별화한 정부지원이 필요하다"며 "대구경북에는 추가로 원자력벨트, 부품소재에 대한 특단의 지원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진형 지방분권 대구경북 상임대표 "MB정부는 국가 전체에 대한 시장논리가 우선돼 대구경북이 소외되는 결과를 낳고 있다"며 "세종시 수정안은 지방 특화도시의 고사, 과도한 기업 특혜로 인한 정부의 재정부담은 물론 대구경북에 피해를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춘수·정욱진 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