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국회 전반기 2년간 지속한 '국회 및 당 권력 PK(부산·경남) 독식 현상'이 후반기 2년간에도 지속할지 모른다는 우려가 대구·경북 의원들 사이에서 나오고 있다. TK(대구·경북) 정권임에도 지역 국회의원들이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할 상황이 이어질 공산도 없지 않아서다.
전반기는 국회의장을 부산 출신 김형오 의원이 맡았다. 한나라당 대표는 경남 출신 박희태 의원에 이어 울산이 정치적 고향인 정몽준 의원으로 바통을 이어갔다. 안상수 원내대표도 부산·경남이 고향이고, 허태열·정의화 최고위원도 부산 의원. 대구·경북은 국회 및 당 고위직에 안 원내대표와 러닝메이트로 경선에서 당선된 김성조 정책위의장이 고작이었다.
이런 PK 독식 현상은 후반기에도 이어질 조짐이다. 국회의장에는 박희태 전 대표가 유력하다. 국회 운영을 책임지는 원내대표도 부산 출신 김무성 의원이 이미 꿰찼다.
대구·경북에서는 국회의장감으로 꼽힌 홍사덕 의원(대구 서구)이 명함조차 내밀지 못하고 있고, 포항 출신 이병석 의원도 원내대표에 도전하려다 뜻을 접었다.
남은 자리는 이달 말 뽑는 국회부의장. 그러나 이 자리마저 부산 출신의 친이명박계인 정의화 최고위원에게 돌아갈 것이란 소문이 무성하다. 이런 가운데 4선으로 친박근혜계인 박종근(달서갑)·이해봉(달서을) 의원이 국회부의장에 도전하고 있다. 전반기 국회와 당을 PK가 독식한 가운데 국회부의장을 인천의 이윤성 의원이 맡았다는 점과 당내 화합분위기 등이 결합하면서 지역 친박계 중진의원의 부의장 입성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지역의 두 중진의원이 단일화를 이루지 못하고 각각 부의장을 향해 뛰고 있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그래서 일단 대구·경북 몫으로 부의장 자리를 확보하는 분위기를 만들고서 단일화를 이루자는 방법론을 박 의원이 제시하고 있다. 박 의원은 6일 대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TK정권을 만들고도 대구·경북 의원들은 제 밥그릇도 찾아 먹지 못한다는 비판의 소리가 크다는 것을 알고 있다"며 "국회부의장이 돼 대구·경북을 챙기는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서명수·이창환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