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가 도시기본계획상의 목표 인구를 지나치게 높게 설정해 지역개발사업이 과도하게 추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도시 공간구조의 왜곡으로 이어져 예산이 크게 낭비되는 문제점을 낳고 있다.
18일 국회 입법조사처가 낸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2018년을 정점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통계청 자료)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지자체가 인구 증가를 가정해 도시 기본계획상의 목표 인구를 설정하고 있다.
1990년대 초반 대구와 서울 등 6대 광역시의 2001년 목표인구는 서울 1천200만명 등 2천555만명이었으나 실제 주민등록인구는 2천191만명(85.7%)에 그쳤다. 대구는 목표인구의 80%, 경북도는 65%에 불과했다.
앞으로의 도시 기본계획 및 도 종합계획상의 목표인구와 통계청 장래 추계인구와의 격차도 상당한 것으로 지적됐다.
16개 시·도의 도시 기본계획 및 종합계획에 따르면 2020년 목표 인구는 5천400만명 수준이지만 통계청 추계 인구는 4천932만명으로 500만명의 격차가 예상되고 있다. 대구경북은 각각 목표인구와 통계청 추계인구 사이에 21~24%의 차이가 났다.
입법조사처는 "지자체가 목표 인구를 지역개발사업의 확대 수단으로 이용하고 공무원들도 높은 수준의 목표인구를 통해 예산을 과다하게 확보하려는 경향이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입법조사처는 2008년 140개 지자체의 '농어촌도로 기본계획' 사업분야에서 이 같은 문제로 예상치보다 1만4천706㎞ 많은 도로계획을 선정해 7조5335억원의 예산을 추가로 지출했다고 밝혔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