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저수지 둑높임 공사 턴키발주 말아 주오"

지역건설업체 농어촌公에 건의

한국농어촌공사가 경북도내 일부 농업용 저수지 둑 높임 사업을 지역 건설업체에게 불리한 턴키공사로 발주할 계획이어서 관련 업계의 반발을 사고 있다.

농어촌공사는 낙동강물길살리기 사업과 연계한 도내 농업용 저수지 둑 높임사업 19곳 (사업비 4천84억원) 중 7곳(1천949억원)을 2개 지구로 묶어 턴키공사(설계·시공 일괄 입찰) 발주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한건설협회 경상북도회는 20일 "농어촌공사가 턴키공사로 묶어 발주할 계획인 7개 농업용 저수지는 각 시·군에 흩어져 있으며, 턴키공사를 할 정도로 전문적인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는 일반적인 토목공사"라며 "사업비도 한 곳당 200억원에서 300억원 정도인데도 턴키공사로 묶어서 발주할 이유가 없기 때문에 일반 공사로 발주할 것을 농어촌공사에 건의했다"고 밝혔다.

건설협회 경북도회에 따르면 이들 공사를 턴키가 아닌 일반공사로 발주하면 저수지별로 각 건설업체가 참여할 수 있고, 공사기간도 턴키에 비해 단축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반공사의 경우 지역제한 대상 공사 또는 지역 의무공동도급을 통해 도내 건설업체들이 최소 40% 이상의 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 턴키로 발주하면 자본력과 기술력이 앞선 대기업이 수주하게 되고 지역 건설업체들은 컨소시엄 참여를 통해 20%의 지분율을 확보하는데 그치고 참여업체도 1, 2개사로 줄어든다.

이종연 건설협회 경북도회 회장은 "지역 건설사의 기술력으로 충분히 시공 가능한 공사를 대형턴키로 발주하면 대기업간 경쟁으로 바뀌고 지역 업체는 컨소시엄 참여를 위해 대기업에게 로비해야 하는 상황이 된다"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역 건설업체의 참여를 확대한다는 4대강 사업취지에도 어긋난다"고 지적했다.

김교영기자 kimky@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