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촬영제원/ 셔터속도 3초, 조리개 10, ISO 200, 14-24㎜ 렌즈
이달 24일 국제불꽃축제가 열린 포항 밤하늘은 그야말로 황홀경이었다. 불꽃축제장에는 늘 사진작가들이 장사진을 친다. 밤사진의 진수이자 놓치기 아까운 소재이기 때문이다. 불꽃사진은 자칫 방심하면 허탕치기 일쑤지만 조금만 신경 쓰면 의외로 대작을 건질 수 있다.
▶트라이포드는 필수
불꽃사진은 셔터타임의 예술이다. 셔터를 언제, 얼마나 적절히 조작하느냐에 따라 작품의 질이 좌우된다. 비교적 긴 노출이 필요하므로 트라이포드(삼각대)는 필수다. 불꽃이 올라오는 지점을 먼저 파악하고 위치를 잡아 삼각대를 단단히 고정시킨다. 촬영명당을 잡는 것도 중요하다. 사진의 절반은 촬영 위치에 좌우된다.
▶반드시 광각렌즈로
불꽃은 지상에서 수십m 높이까지 올라가 터진다. 행사장 근처라면 최소 27㎜ 이하 광각렌즈를 준비해야 전체 모습을 담을 수 있다. 불꽃 종류나 전개 과정에 따라 폭발 위치가 다르기 때문에 촬영 후 트리밍한다는 생각으로 앵글을 넓게 잡아야 한다.
광각렌즈는 특성상 지상에서 하늘 방향으로 과도하게 로우앵글로 잡을 경우 지상 구조물이 안으로 휘어진다. 최대 광각으로 지상과 수평 또는 수직으로 카메라를 설치한 뒤 불필요한 부분은 트리밍한다는 생각으로 구도를 잡으면 구조물 휨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야간에 자동초점 조절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렌즈 초점레버를 수동모드로 전환해 초점을 무한대로 놓고 촬영하면 된다.
▶B셔터 또는 매뉴얼모드(M)로 촬영
감도는 100 또는 200으로 설정하고 조리개는 8 또는 10 정도가 적당하다. 조리개 수치가 낮을수록(개방) 불꽃이 선명하지 못하고 수치가 더 높을수록(죔) 약한 불빛 표현이 힘들다.
셔터는 B(Bulb)셔터 또는 수동모드(M)로 촬영하는 게 좋다. B셔터에서는 셔터 개방 시간 동안 불빛 궤적이 계속 촬영된다. 불꽃 꼬리가 하늘로 올라가는 시점부터 셔터를 누른 뒤 불꽃이 터져 만개한 시점에 손을 떼 셔터를 닫는다. 셔터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잇따라 터지는 두 번째, 세 번째 불꽃도 겹쳐서 촬영된다. 너무 장시간 셔터를 열면 불꽃이 여러 번 겹쳐 산만해지고 노출오버 현상이 생긴다. 불꽃이 터지는 상황을 세밀하게 관찰하며 셔터시간을 섬세하게 조절해야 한다. 마음속으로 카운트를 하며 최대 5초대를 넘지않게 촬영하면 효과적이다.
수동모드에서도 B셔터와 같은 원리로 촬영할 수 있다. 수동모드에서는 1/4초, 1/2초, 1초, 2초 등 설정한 시간만큼 손쉽게 촬영이 가능하다. 촬영한 사진에 대해 실시간으로 액정화면을 통해 노출과다 여부 등을 확인하고 재빨리 조래개와 셔터속도를 교정해 가면서 촬영하면 실패를 줄일 수 있다.
▶플래시 사용으로 근거리 표현
카메라 앞 근거리에 있는 인파도 함께 표현하고 싶다면 플래시를 활용하면 된다. 이때는 밤 분위기를 깨지 않도록 플래시 광량을 적절히 낮게 조절해야 한다. 광량이 너무 세면 충전이 지연돼 연속 촬영에 발광이 잘 안 되는 문제가 따른다.
thkim2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