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세균 대표, 사퇴 타이밍 조절…최고위서 거듭 사의 밝혀

재보선 후폭풍에 휩싸인 민주당

정세균 민주당 대표가 30일 7·28재보선 패배의 책임을 지고 사퇴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나서는 등 민주당이 거센 재보선 후폭풍에 휩쓸리고 있다.

정 대표는 전날까지만 해도 "거취 문제에 대한 과도한 논란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쇄신연대' 등 비주류 측의 사퇴 공세에 정면돌파 자세를 견지했지만, 이날 돌연 입장을 바꾼 것은 자신의 당권 연임 가도는 물론 민주당을 바라보는 민심이 심상치 않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박지원 원내대표 등은 "(지도부) 총사퇴는 바람직하지 않고 누구에게 돌을 던질 수 없다"며 정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 사퇴론에 반대했지만 비주류인 박주선 최고위원은 지도부 총사퇴를 거듭 주장하고 나서는 등 혼선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정 대표는 이날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서 "선거에서 패배했으니 책임져야 한다는 여론이 있고 그러면 당 대표인 내가 책임지고 물러나야 하는 것 아니냐"며 사의를 표명했다고 우상호 대변인이 전했다. 이에 박 최고위원이 지도부 총사퇴를 주장하자, 정 대표는 "내가 물러나고 나머지까지 다 같이 물러나면 혼란스러우니 나 혼자 하는 것으로 매듭짓겠다"고 거듭 사의를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우 대변인은 "본인만 물러나고 나머지는 남아서 당을 운영해야 한다는 취지였다"며 "상당수 지도부 인사들이 '곧바로 전대인데 오히려 무책임한 것 아니냐'고 해서 이번 주말을 거치면서 다시 이야기하기로 했다. (사퇴) 결론은 내리지 못했다"고 밝혔다.

정 대표가 재보선 참패에 대해 책임론을 통감하면서도 자신의 사퇴로 책임론을 마무리짓겠다는 것은 자칫 지도부 공백상태로 전당대회를 맞이할 경우 '불명예 퇴진'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그럴 경우 지난 2년간 당을 이끌면서 대여투쟁에 나선 성과가 퇴색되면서 손학규 전 대표와 정동영 고문 등과 당권경쟁에서 타격을 입는다는 위기감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