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분권 확대를 위해 지방으로 권한이 옮겨진 중앙 사무가 현 정부 출범 이후 1천 건이 넘었다.
26일 대통령 소속 지방분권촉진위원회에 따르면 올 들어 17개 부처·청 348개 사무를 지방에 이양하는 등 이명박 정부 들어 총 이양 건수가 1천99개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참여정부 시절 902건에 비해 22% 증가한 것이다.
올해 이양이 확정된 대표적 사무로는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교육기관 설립 승인 기능, 복합물류터미널사업자 등에 대한 등록 기능 등이 있다. 경제자유구역 내 외국교육기관 설립 기능은 지식경제부, 교육과학기술부 소관에서 각 시·도 교육청으로 이양돼 설립절차가 대폭 간소화된다. 현재는 교과부에 먼저 설립인가 신청을 한 뒤 지경부 산하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최종적으로 교과부가 승인하는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 그러나 이런 번거로운 과정이 줄어들어 외자 유치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국토해양부 업무였던 복합물류터미널 사업자에 대한 등록 기능도 시·도지사가 책임지고 맡도록 해 권한과 책임을 일원화했다. 환경부 소관 '야생화된 동물의 지정 등 기능' 역시 최근 유기동물 증가 추세에 따라 지역 실정에 맞게 운영하도록 했다.
이숙자 지방분권촉진위원장은 "민선5기 지자체의 지방 분권 확립에 실질적 도움이 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지방이양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