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언 최고위원과 정태근 의원 등 한나라당 내 친이계 소장파들의 이상득 전 국회부의장(SD)에 대한 공격이 집요하다. 이들은 한나라당 의원 연찬회석상에서 공개적으로 이 전 부의장과 박영준 지식경제부 제2차관을 사찰논란의 배후로 정조준한 데 이어 1일 열린 한나라당 최고위원·중진 연석회의에서도 공세를 멈추지 않았다. 집권 3년차 여당에서 좀처럼 찾아보기 힘든 풍경이다.
이들의 이 전 부의장 공격은 2008년 총선부터 시작된다. 이 전 부의장의 총선 불출마를 요구하는 55인 선언을 주도한 정 최고위원은 총선 직후인 2008년 6월 '권력사유화'논란을 제기하면서 이 전 부의장을 재공격했다. 이들은 2009년 6월, 7인 선언을 통해 '당 쇄신'을 요구했고 이 전 부의장은 정치 일선 후퇴를 선언하고 자원외교에 전념하게 된다. 총리실의 민간인 사찰 논란을 통한 정 최고위원 등의 이 전 부의장 공격 제3라운드인 셈이다.
이들 소장파들의 이 전 부의장에 대한 공격을 패륜적이라고 비판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 전 부의장과 가까운 장제원 의원은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근거나 증거 없이 새까만 후배가 20여 년간 한나라당을 지켜온 선배를 정면공격하는 잔인함에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며 "인생살이에서 이런 것들을 '패륜적'이라고 한다"고 반격했다. 친박계 중진인 홍사덕 의원(대구 서구)도 이날 듣고 참을 수가 없어 마이크를 잡고 정 최고위원을 향해 "예의범절이 없다"고 지적했다.
이들의 집요한 공격은 김대중 정부 시절 당시 민주당 정동영 의원 등 소장파들이 정풍운동을 전개해 권노갑 전 고문 등을 희생양으로 삼았던 전례를 연상케 하고 있다. 전형적인 권력투쟁 양상이다. 이명박 정부 초기 권력을 나눠가졌던 이들이 권력에서 소외되면서 싸움을 걸고 있다는 풀이다.
친이 직계들의 '도발'에 청와대도 '도를 넘었다'며 정면대응에 나설 태세다. 이 전 부의장은 불쾌해하면서도 자제하고 있다. 당지도부가 중재에 나서고 있지만 양측의 대응 수위에 따라 자칫 내분으로 치달을 수도 있는 형국이다.
소장파들의 이 같은 파상공세의 배후는 사찰논란에 대한 피해 의식은 물론이고 차기 총선과 대선을 겨냥한 사전 포석이라는 해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들 소장파들은 지난 총선에서 '쉽게' 당선된 수도권 의원들이라는 점에서 다음 총선을 앞두고 'MB' 색깔을 희석시키고자하는 탈색의도가 강하게 엿보인다. 6월 지방선거에서 드러난 수도권 민심을 보면 'MB직계'라는 브랜드로 총선에 출마할 경우 승산이 없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는 것. 한 중진의원은 "이들 소장파들은 이미 친이 직계라는 테두리를 벗어난 것"이라면서 "다음 총선을 겨냥한 공허한 몸부림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했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