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문화재 도난 방지와 회수에 총력 기울여야

당국이 최근 문화재 절도범 일당을 끈질기게 추적해 도난 문화재를 대거 회수하고 해외 유출 가능성이 높은 문화재를 인터폴에 수배하는 등 적극적인 의지를 보이고 있는 것은 무척 다행한 일이다. 이 같은 움직임은 도난 문화재는 되찾기가 힘들다는 통념을 깰 수 있다는 점에서 고무적인 것이다.

이런 인식이 널리 퍼진 배경에는 허술한 문화재 관리도 문제지만 그동안 경찰과 문화재 당국의 적극적인 회수 의지 부족도 한몫했다. 문화재청 집계에 의하면 그동안 신고된 도난 문화재만도 모두 1만 8천여 점에 이른다. 이 중에는 2001년 도난당한 안평대군의 진본 문집인 '소원화개첩' 등 국보 3점과 보물 258점도 포함돼 있다. 이처럼 소중한 문화재들이 지금 이 시간에도 암암리에 밀거래되고 심지어 해외로 빼돌려져 더 이상 찾기가 점점 더 불가능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어제 경찰과 문화재청이 협력해 경주 양동마을 서백당 등에서 도난당한 고서적 등 문화재를 대거 회수한 것은 앞으로 문화재를 지키는 방법에 있어 좋은 본보기가 될 수 있다. 당국이 지난해 8월 인터넷 밀거래 현황을 인지하고 1년간 추적해 절도범과 장물업자'유통업자 등 일당을 붙잡은 것이다. 이번 사례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지만 당국이 도난 문화재 회수를 위해 적극적인 의지를 보일 경우 앞으로 소중한 문화재를 절도범들로부터 지켜낼 수 있다는 점에서 희망적이라 할 수 있다. 경찰이 도난당한 중요 문화재 29점을 처음으로 인터폴에 공개 수배하는 등 적극 행동에 나선 것도 같은 맥락이다.

문화재는 그 무엇으로도 대신할 수 없다. 가치를 따질 수 없는 것이기에 문화재 도난을 막기 위한 노력에는 민관이 따로 없어야 한다. 무엇보다 철저한 관리는 물론 도난당한 문화재는 끝까지 추적해 회수한다는 의지를 보여야 도난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당국의 적극적인 관심과 분발을 촉구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