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 말로는 '소통' 행동은 '먹통'

13일 달성군 하빈면사무소에서 열린 대구 교도소 이전 관련 주민공청회. 대구교도소 하빈 이전이 민감한 현안인 만큼 이날 행사에는 300여 명의 주민이 참석했다.

하지만 이날 공청회에서 업무 담당 공무원이나 기관장의 모습은 찾기 힘들었다. 주민들이 모이는 곳이면 너도나도 염치없이(?) 찾아와 눈총을 받던 이들이 아예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것.

한 주민은 "주민 공청회를 한다는데 무슨 말을 하는지 공무원들이 들어 군정에 반영해야 하지 않느냐"며 "교도소 이전 유치에는 공무원들이 나서서 홍보하더니 주민공청회에는 모습도 보이지 않고 '너희끼리 떠들어라'는 식이다"고 비난했다.

박돈규 대구시의원도 "교도소 이전이라는 중요한 문제에 대해 주민이 직접 나서 공청회를 개최하는데 정책에 관여하는 공직자들이 나오지 않은 것은 주민의 알권리를 무시한 행정"이라며 "표가 많은 화원 지역 민원 해결을 위해 인구가 적은 하빈을 무시하는 것 아니냐"고 비난을 이어갔다.

이날 공청회에선 당국이 주민 70%가 찬성했다며 교도소 이전 정당성의 근거로 내세우는 '교도소 이전 건의서'가 주민의사를 무시하고 허위로 이뤄졌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또 혐오시설인 교도소가 이전되면 그린벨트 해제 등 인센티브가 주어질 것이라고 했지만 아직 구체화된 것이 없다며 불만을 쏟아냈다. 주민들은 마을마다 대표 2명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하고 교도소 이전 관련 반대를 포함한 전반적인 문제를 논의키로 하고 공청회를 마무리했다.

주장의 정당성 여부를 떠나 삶의 환경을 변화시키는 교도소 이전에 대해 주민들은 민감해질 수밖에 없다.

하지만 교도소 이전을 추진하면서 설명회 한 번 하지 않고 반대하는 주민 주장에 아예 귀를 막으려는 달성군의 태도는 하빈 주민들에게 또 다른 '상처'를 안겨줄 수밖에 없다.

최근 '소통'(疏通)이 우리사회의 화두다. 대통령에서부터 대부분의 공직자들이 소통을 하겠다고 말한다. 하지만 아직도 말로는 '소통'을 외치면서 실제는 '먹통'인 곳이 주변에 산재해 있는 모양이다.

박용우기자 yw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