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 울진원전 제보자 색출용 감사

울진원전이 발칵 뒤집어졌다. 경찰이 신울진원자력 1·2호기 건설공사 추진과정에서 사업비를 과다 사용한 전 신울진건설소장 A씨에 대해 본격 수사에 착수했다는 본지 보도(4일자 4면) 후의 분위기다.

울진원전은 "내부 감사권을 발동해 진상조사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돌아가는 낌새가 이상하다. 감사의 목적이 'A씨의 비위를 언론에 알린 사람을 찾아내겠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울진원전 측은 기자에게 "도대체 A씨와 관련된 인터뷰를 누구와 했느냐. 감사를 통해 적발해 낼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사건의 본질을 파헤치기보다 내용을 외부에 알린 사람을 찾겠다는 것이다.

이런 분위기라면 울진원전의 감사권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울진원전은 한국전력이 실시한 감사에서 A씨의 문제가 불거졌을 때 가벼운 내부 징계에 그쳤다. 형사고발 등은 염두에 두지 않은 셈이다.

엄정해야 할 공기업 내부 감사가 현 상황에서는 비상식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듯하다. 제보자를 찾아내고 해당 직원에 대한 가벼운 문책에만 치중한다고 구조적 문제가 사라지지는 않을 것이다. 비리와 부패는 감출수록 의혹과 문제가 더 커질 터이다.

사건의 본질에 대한 파악과 제도 개선이 아니라 '직원 입단속'에 감사의 초점이 맞춰지고 있는 점이 안타깝다.

울진원전은 지금이라도 A씨가 수사를 받게 된 원인부터 짚고 들어가는 등 구조적 문제점을 파헤치고 개선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비온 뒤 땅이 더 굳어지듯, 이번 사건을 계기로 울진원전이 보다 투명한 조직으로 거듭나길 지역민들은 기대하고 있다.

울진·박승혁기자 psh@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