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점심을 먹던 친구가 내 입가에 묻은 김 조각을 떼 주었다. 이럴 경우 나는 참 멋쩍다. 내 얼굴에서 일어난 일을 나만 모르고 있기 때문이다. 김 조각이 붙어 있어도 거울을 보지 않는 이상 나는 알 수가 없다. 그러면서도 나는 나를 가장 잘 안다고 착각하며 살고 있다.
내 몸은 내가 볼 수 있는 곳과 볼 수 없는 곳으로 구분된다. 손과 발, 배꼽과 정강이는 볼 수 있지만 등과 귀와 입술은 거울을 통해서만 볼 수 있다. 거울 속 나를 보면서 아, 내가 이렇게 생겼구나. 살이 쪘구나, 말랐구나, 관찰한다. 관찰해서 이미지화시킨 것이 내가 알고 있는 나의 모습이다. 만약에 거울이 없었다면 나는 내 얼굴을 잃어 버려도 찾을 수 없었을 것이다.
얼굴과 등을 거울에 비쳐 보듯이 마음도 눈으로 볼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거울에도 비치지 않는 마음, 말랑한지 딱딱한지 알 수가 없다. 모양도 시시각각 변한다. 길쭉한 것 같아 보면 동그랗고 동그라미네, 하고 보면 타원형이다.
이것의 특성은 보거나 만져볼 수 없다는 거다. 대신 느낄 수는 있다. 그래서인지 다루기가 힘들다. 형체가 없으니 변덕도 심하고 상처도 잘 받는다. 강한 것 같지만 허물어지는 것 또한 잠깐이다. 행복 전도사 최윤희 씨의 자살 소식을 접한 순간 이것이 가진 특성의 한계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그녀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행복을 전파하고 다녔다. 그녀가 행복 그거 얼마냐고 할 때 행복이 참 가벼워 보였다. 그까짓 거 싶었다. 그 대수롭지 않은 것 때문에 우울해하거나 절망에 빠지고 싶지 않았다. 마음먹기에 따라 1만원만 주면 살 수 있을 것만 같았다.
빛이 없는 깊이에 빠져보지 않은 사람은 깊이에 대한 두려움이 적다. 벼랑에서 떨어져 본 사람만이 벼랑이 주는 공포를 이해할 수 있다. 그녀는 '홍반성 루푸스(lupus)'라는 만성질환을 앓아왔다. 그 병은 몸이 자기 면역 세포의 공격을 받는 것이다. 그 때문에 그녀는 700가지의 통증에 시달렸다고 한다. 그 상황에서 행복 그거 얼마냐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안타깝고 가슴 아프다. 한 가지 아쉬운 게 있다면 그녀가 행복 전도사였던 만큼 지옥과도 같은 통증과 끝까지 싸우면서 "행복 그거 얼마예요?"라고 했더라면 행복의 가치가 지금보다 훨씬 더 값진 것이 되지 않았을까. 희망과 절망은 일란성 쌍둥이와 같다고 그녀가 말했었다. 희망이 아닌 절망 쪽으로 고개를 돌린 그녀의 선택이 아쉽다. 임수진(수필가)
































댓글 많은 뉴스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李대통령 "박정희 산업화 큰 업적…비판 있지만 공적 누구나 인정" [영상]
취임 후 처음 대구 찾은 이재명 대통령, 핵심현안사업 지원 의지 강조(종합)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