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뇌연구원 유치 재점화…DGIST·서울대·KAIST 격돌

우리나라 뇌융합과학과 두뇌 산업을 총괄할 한국뇌연구원 입지를 두고 유치전이 다시 불붙고 있다.

정부는 당초 '뇌융합 원천기술 개발과 G7 수준의 뇌 강국 진입' 프로젝트 추진을 담당할 뇌연구원의 입지를 올해 초까지 선정할 예정이었다. 이 때문에 지난해 12월 대구시를 비롯해 인천과 대전이 유치제안서를 냈지만 세종시 파동과 6·2지방선거 여파로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는 상황.

3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에 따르면 교육과학기술부는 이달 1일 뇌연구원 유치를 희망한 DGIST(대구)를 비롯해 서울대(인천), KAIST(대전) 등 3개 학교 관계자들을 교과부에 초청해 유치 의지를 확인했다. 또 입지 선정을 올 연말까지 마무리 짓겠다는 정부 방침을 통보했다고 DGIST 관계자는 밝혔다.

DGIST 문제일 교수는 "교과부도 올해를 넘기면 뇌연구원 사업이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올 연말까지는 입지 선정을 마칠 뜻을 분명히 했다"며 "따라서 이달 중순쯤 유치 희망 지자체를 상대로 유치제안서를 수정해 다시 제출할 것을 요구할 예정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뇌연구원 입지가 빨리 결정돼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한나라당 이한구 국회의원은 "미개척 분야인 뇌융합 기술의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해 선진국들은 20세기 말부터 뇌(腦) 연구에 국가적 차원에서 엄청난 지원을 쏟아붓고 있다. 우리도 'G7 수준의 뇌 강국 진입'을 위해 뇌연구원이 필요하다"며 "당초 계획보다 1년가량 늦어진 만큼 부지 및 연구원 확보 등이 당장 가능한 지역에 뇌연구원을 설립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2014년까지(1단계) 총 1천138억원을 투입, 2013년 개원 예정인 한국뇌연구원은 최소 5만2천㎡(1만5천730평) 부지에 1만9천54㎡(5천764평) 규모의 건물을 세워 200여 명의 연구 인력이 상주한다. 정부는 연구원 운영비와 R&D 비용을 매년 지원하고, 연구원을 유치하는 지자체가 부지 및 건축사업비를 분담하게 된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