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차기 대선 예비주자들 대북관…'北 연평도 도발' 시각차

북한의 연평도 도발을 계기로 차기 대선 주자들의 안보 행보가 주목을 끌고 있다. 북한이 영토를 직접 공격해 인명 피해가 난 마당이라 모두 북한을 비판하고 있지만 그 강도는 조금씩 다르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온·오프라인 전방위로 가장 공세적이다. 박 전 대표는 26일 자신의 트위터에 "순국 장병께 깊은 애도를 표하며 명복을 빕니다. 평소 공기의 존재에 무관심하듯, 사실 우리의 모든 생활이 무의식 중에도 안보에 대한 믿음 때문에 가능한 것인데… 이번 도발이 안보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워 줍니다"라고 썼다. 국가의 '안보 불감증'에 경종을 울리는 글이었다.

이어 27일 밤에는 자신의 미니홈페이지에 "다시는 이런 일이 생기지 않도록 철저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라며 국가는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국민은 국가를 신뢰하며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할 때 대한민국은 모든 위기를 극복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의 국가안보관을 드러냈다. 국민 안전을 위한 철저한 안보 대책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정치권은 이런 박 전 대표의 발언에 대해 "여성 정치인이 외교, 안보, 치안 등 '남성적인 분야'에 약할 것이라는 편견을 깨는 행보"로 읽고 있다. 박 전 대표는 연평도 공격 다음날인 24일 취재진들과 만나 "모든 수단과 방법을 다 동원해 자위권 차원에서 대응해야 한다"며 정부의 신속한 대응을 촉구하기도 했다.

○…손학규 민주당 대표는 '존재감 찾기'에 골몰하는 모습이다. 북한의 연평도 공격으로 '서울광장 농성'을 철회한 그는 ▷4대강 사업 반대 ▷청와대 대포폰 지급 의혹 등 여권을 향한 대형 이슈를 뺏긴 형편이다. 손 대표가 "전쟁은 해결책이 아니고 평화의 길을 가야 한다"며 한반도 평화 기조를 강조하고 있지만 이미 불붙은 반(反)대북기조 여론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으로 비치고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29, 30일 예정된 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서 손 대표가 미래 대북 관계에 대해 선명한 메시지를 내놓으리란 분석도 내놓고 있다. 또 야권 일각에서 정부의 4대강 예산을 깎아 국방 예산으로 돌려야 한다는 논리를 내세우면서 손 대표가 어떤 입장을 표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28일 연평도에 5억원의 긴급구호자금을 경기도 예비비에서 지원키로 했다. 연평도는 행정구역상 인천이지만 1996년까지 경기도였고, 심리적 거리로는 경기도에 더 가깝다. 한나라당 대권 주자 가운데 진보 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김 지사는 "대한민국의 주권을 짓밟고 국민의 생명을 앗아가는 침략행위에는 단호한 응징을 통해 재발을 막아야 한다"고 트위터에 올렸다. 북한의 도발 상황을 맞아서는 진보의 색채를 찾기 어려울 정도로 강경하다.

○…유시민 국민참여당 정책연구원장은 "우리 정부의 대북정책이 아무리 불합리한 것이라 할지라도 민간인들이 함께 사는 연평도의 군 시설물과 민가에 포탄을 퍼부은 북의 소행은 결코 정당화할 수 없다. 정말 나쁜 짓이다. 평화의 소중함을 다시금 느끼며, 더 이상의 군사 행동이 없기를 바란다"고 트위터에 썼다. 북한의 소행은 나쁜 짓이라고 하면서도, 북한에 대한 지원을 끊은 정부의 대북정책이 불합리하다고 에둘러 비판한 셈이다. 또 응징 등 우리 정부의 대응책을 언급하지 않아 다른 대선 주자와 온도차를 보였다.

서명수·박상전·서상현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