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염색산단-염색기술연구소 '땅' 싸움

대기방재시설 설치 위해 "내놔라-못 준다" 갈등

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과 한국염색기술연구소가 대기방재시설 부지 문제로 또 한번 갈등을 겪고 있다. 섬유업계는 섬유경기 호조를 맞은 지역섬유업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우태욱기자 woo@msnet.co.kr
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과 한국염색기술연구소가 대기방재시설 부지 문제로 또 한번 갈등을 겪고 있다. 섬유업계는 섬유경기 호조를 맞은 지역섬유업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우태욱기자 woo@msnet.co.kr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이하 관리공단)과 한국염색기술연구소(이하 염기연)가 대기방재시설 설치 문제를 둘러싸고 땅 문제로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다. 염색산단은 2015년 대기가스배출허용기준에 맞추기 위해선 염기연이 임대해 쓰고 있는 일부 부지 외엔 대안이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고 염기연은 공단 안에 대체 부지가 있는데도 굳이 연구소를 몰아내려고 하고 있다고 맞서고 있는 것. 관리공단은 1년 전부터 끊임없이 염기연에 부지 반환을 요구했지만 꿈쩍도 하지 않자, 전기를 끊겠다는 초강수를 두기도 했다.

◆세 개 연구동 비워라

관리공단의 주장이다. 관리공단에 따르면 2015년 이후 적용되는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제15조에 맞추려면 현재 염색산단이 배출하고 있는 SOx(황) 250ppm 이하, NOx(질소) 230ppm 이하, 먼지 30ppm 이하를 각각 150ppm 이하, 150ppm 이하, 40ppm 이하로 대폭 낮춰야 한다. 이를 충족하지 못할 경우 염색산단을 멈춰야 하는 사태에 직면한다. 이 때문에 관리공단은 염기연이 임대해 쓰고 있는 날염동, 암모니아동, 88m 창고동 등 세 개의 연구동에 설치된 기계를 옮겨 달라고 요청했다. 현재 1천749㎡ 규모의 석탄저장고를 연구동으로 옮기고 그 자리에 대기방재시설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관리공단 관계자는 "강화된 대기오염물질 배출허용기준에 맞추려면 부지 문제가 우선적으로 풀려야 하는데 현재 염색산단 안에는 염기연이 임대해 쓰고 있는 세 개의 연구동 외에는 땅이 없다"고 말했다.

◆왜 하필 연구소 부지에 조성하나?

염기연은 관리공단과 2018년까지 연구소 일부 부지 임대 계약을 맺고 있는 데다 굳이 염기연 임대 부지에 대기방재시설을 설치할 이유가 무엇이냐며 버티고 있다. 게다가 정명필 관리공단 이사장이 함정웅(전 관리공단 이사장) 염기연 이사장과의 갈등에서 빚어진 일이라며 불편한 심기를 내비치고 있다. 지난해 8월 경영혁신을 내세워 당선된 정 이사장이 과거 집행부와의 '단절' 차원에서 함 이사장을 업무상 배임 등 횡령 혐의로 2차례 고소한 데 이은 후속 조치라는 것. 염기연은 "염색공단 다른 곳에 환경저감장치를 설치하면 되는데도 굳이 염기연 연구동을 이전하라고 강요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관리공단은 염기연과 맺은 임대계약(기한 2018년)은 함 이사장이 관리공단 이사장 재직 시절 이사회 의결을 거치지 않은 것으로 '무효'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또 염기연 부지 문제를 정 이사장과 함 이사장의 문제로 몰아가 본질을 흐리려는 의도라고 비난했다.

관리공단은 "대기방재시설 부지가 있으면 굳이 염기연 연구동을 고집할 이유가 어디 있겠느냐. 연구소를 이전하라는 것도 아닐 뿐더러 환경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염색산단이 조업 차질을 빚으면 누가 책임질 것인가"라고 밝혔다. .

◆합의점 찾나?

염기연은 2일 이사회를 열고 염색공단과 연구소 이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TF를 구성했다. 하지만 해결책 마련이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이사회에는 지식경제부와 대구시 담당자 각 1명, 연구소 이사와 관리공단 이사 각 5명, 실무 담당자 등이 TF를 구성해 부지 문제의 타당성을 검토하기로 했다. 그러나 복수의 관계자들은 TF를 통해 두 기관의 의견차가 얼마나 좁혀질지에 대해선 고개를 갸우뚱하고 있다. '땅이 있다'는 염기연 측과 '땅이 없다'는 관리공단의 주장이 평행선을 달리고 있기 때문이다.

임상준기자 news@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