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경제통합·상생', 말로만 떠든 헛구호였나?
3일 경북도의회가 내년도 대구경북연구원 지원예산을 전액 삭감하기로 해 2006년부터 대구경북연구원을 중심으로 추진했던 대구경북 경제통합 및 상생 기류에 균열이 생겼다는 걱정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일부에서는 최근 대구 취수원 구미이전과 연구개발(R&D)특구 추진 등에서 불거진 대구와 경북의 사소한 갈등이 아예 갈라서는 모양새로 확대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경북도의회는 3일 기획경제위원회 상임위 예산심사를 열고 내년도 대구경북연구원에 지원할 예산인 30억원을 전액 삭감키로 결정했다. 이는 내년도 대경연 총예산 100억원의 30%에 달하는 금액이다. 대구의 경우는 내년도 대경연 지원예산인 32억원이 시의회 예결위를 통과했다.
경북도의회 장경식 기획경제위원장은 "대구경북연구원에 지원하는 도 예산이 해마다 증가 추세에 있지만, 행정사무감사 등에서 대경연이 지원예산을 어디에, 어떻게 쓰고 있는지에 대해 제대로 답변하지 않고 있어 불가피하게 예산 삭감을 했다"며 "특히 그동안 경북도를 위한 대경연의 역할에 회의적인 시각이 많아진 것도 한 원인"이라고 말했다. 장 위원장은 또 "전국 16개 광역시·도 중 대구경북처럼 통합된 연구원이 있는 곳은 유일한데, 이번에 경북도의 의견을 대변할 수 있는 경북연구원을 새로 출범해야 한다는 의견도 많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경북도의 예산 전액 삭감이라는 초유의 사태에 대해 대구경북연구원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대경연 관계자는 "7일부터 1주일 동안 열릴 예정인 경북도의회 예결위가 남아있기 때문에 (예산 전액 삭감을) 예단할 수 없다"며 "하지만 현실이 될 경우 대구와 경북의 상생이라는 대경연 설립취지 자체가 무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전문가들은 대구와 경북이 힘을 합쳐 지역사회의 침체와 쇠퇴를 극복해보자는 '대구경북 경제통합 및 협력'의 기조가 '헛구호'로 그쳐서는 안 된다고 지적하고 있다.
지역 한 대학 교수는 "쇠퇴 일로에 있는 지역 위상 회복을 위해 대구시장과 경북도지사 '형님 동생'하며 손을 다잡은 결과 경제자유구역, 첨단의료복합단지, 국가산단, R&D특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등 굵직굵직한 선물이 생겼다"며 "이번 경북도의 대경연 예산 삭감은 지역에 서서히 돋아나고 있는 희망의 싹을 짓밟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걱정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