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당국의 안전 불감증 속에 흉기가 된 관광버스

관광버스 타기가 불안하다. 정비 불량에다 대형차량 운전 경험이 부족한 운전기사, 게다가 좌석 불법 개조까지 성행해 승객 안전이 크게 위협받고 있어서다. 회사 소속이지만 실상 개인이 관리'운영하는 대다수 지입 관광버스의 이런 구조적 문제로 인해 대형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관광버스로 나들이할 경우 아예 목숨 내놓고 타야 할 판이다.

5일 경남 밀양에서 발생한 포항 한동관광버스 사고는 예견된 일이었다. 내리막길에서 브레이크 파열로 버스가 전복되면서 4명이 숨진 이번 사고는 지난해 12월 18명이 사망한 경주 현곡면 남사재의 관광버스 전복 사고와 판박이다. 정비가 제대로 안 된 지입 차량의 무리한 운행과 운전 미숙이 참사를 불렀다. 한 명이라도 더 태우기 위해 좌석을 마음대로 뜯어고친 결과인 것이다.

현행법상 개인은 여객 운송 사업을 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실상은 회사 명의를 빌린 지입 차량이 판을 치고 있다. 국토해양부에 따르면 국내 전세'관광버스 3만 3천여 대 중 90%가량이 지입 차량으로 무자격 관광버스 기사 또한 전체의 10%를 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렇게 법을 우습게 여긴 결과 관광버스는 언제 어디서 터질지 모르는 움직이는 폭탄으로 전락했다.

무엇보다 비판받아야 할 것은 정부 부처와 지자체의 안전 불감증이다. 불법 사실을 알고도 적극적으로 단속하지 않아 이런 참사를 계속해 불러오고 있는 것이다. 당국이 "지입 행위가 은밀하게 이뤄져 적발이 쉽지 않다"고 둘러대는 사이 관광버스가 승객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흉기가 되고 있는 것이다. 당국은 지금이라도 관리 감독을 철저히 하고 제도 개선을 서둘러야 한다. 당국의 무사안일에 언제까지 관광객들이 불안에 떨며 버스를 타야 할 것인가.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