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살처분 인력, 이동제한 몰랐나…"방역에 구멍"

안동 투입 인력 뒤늦게 격리조치…중장비 기사 7명 영주로 출퇴근

"정말 통탄할 일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축산농가는 생사가 달려 있는데 안동 구제역 가축 매몰 작업장에 투입됐던 장비 기사들이 영주로 출퇴근하다니요. 방역 당국은 도대체 뭘하고 있습니까."

안동 구제역 살처분 현장에 투입된 장비 기사들이 주거지인 영주로 출퇴근한 사실이 뒤늦게 밝혀져 축산 농가들이 반발하고 있다.

축산농 안모(45·영주시 이산면) 씨는 "영주지역 A·B중기회사 트레일러와 포클레인 등이 안동지역 구제역 살처분 현장에 투입돼 매몰작업을 벌였으나 운전기사들을 별도의 조치 없이 영주까지 출퇴근하도록 방치했다"며 "방역시스템 운영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 것 같다"며 방역 당국을 비판했다.

농림수산식품부가 마련한 구제역 긴급 행동지침에 따르면 '살처분에 투입된 인부는 작업종료 후 소독 등의 조치 후 7일간 축산 관련 시설과 축산농가의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안동지역 구제역 살처분 현장에 투입된 영주지역 장비 7대의 작업인부 7명이 별다른 조치 없이 25㎞가량 떨어진 영주지역으로 출퇴근한 것으로 드러났다.

말썽이 일자 영주시는 이달 3일 안동시에 공문을 보내 "살처분 현장에 참여한 영주지역 장비와 인력의 사후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별도의 조치 없이 귀가하는 사례가 확인돼 구제역 전염이 우려된다. 인력과 장비에 대한 명단을 통보해 달라"고 요청했다. 또 살처분 현장에 투입된 장비와 인력의 신원을 확보한 뒤 현재 안동 살처분 장소 인근에 숙소를 마련, 격리 조치에 들어갔다.

영주시 관계자는 "농민의 제보로 이 같은 사실을 알게 됐다"며 "곧바로 안동시에 연락을 취해 명단을 확보한 후 격리조치에 들어갔다"고 해명했다.

영주·마경대기자 kdma@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