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은 김수환 추기경이 선종한 지 2주기 되는 날이다. 김 추기경이 우리 사회에 남긴 고귀한 유산 중 하나는 장기 기증을 통해 사랑의 숨결을 불어넣은 일이다. 국립장기이식관리센터(KONOS)에 따르면 2005년부터 2008년까지 장기 기증 희망 등록자 수는 7만~9만 명 수준이었으나 김 추기경이 선종한 2009년에는 18만 5천 명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그러나 지난해 장기 기증 희망 등록자 수는 12만 4천여 명으로 그 전해에 비해 32.8% 감소, 아쉬움을 남기고 있다. 대구 지역의 장기 기증 희망자 수도 2009년 8천300여 명에 이르렀으나 지난해는 4천400여 명에 그쳐 2007년 이전 수준으로 후퇴했다. 장기 기증이 김 추기경의 선종을 계기로 사회적 관심을 모으게 됐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열기가 가라앉고 있는 것이다. 장기 기증이 유명인의 죽음에 일시적으로 영향받는 현실의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장기 기증이 사회적으로 폭넓게 뿌리내리게 하려면 제도적 개선책이 필요하다. 일본과 유럽 국가들은 출생과 동시에 장기 기증이 의무화돼 거부 의사를 밝히지 않는 한 장기 기증으로 이어지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장기 기증 의사를 밝혀야만 기증할 수 있도록 돼 있는 우리의 정서와 맞지 않으나 신중히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또 뇌사자 신고 의무제도 장기 기증을 착근시키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장기 기증은 죽어가는 생명이 살아야 할 생명에게 삶의 불씨를 옮겨 심는 숭고한 행위다. 김 추기경도 이러한 생명 나눔의 큰 의미를 유산으로 남겼다. 장기 기증이 감소세를 보였지만 김 추기경 선종 이전보다는 증가세가 유지되는 현실에서 그의 유지가 우리 사회에 스며들고 있음을 느끼게 된다. 장기 기증의 가치를 살리고 이어 나가려는 사회적 노력이 절실하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