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우일렉, 유해·화학물질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국내외 사업장 및 협력업체의 6만여 부품 및 원재료 유해성 관리, 글로벌

대우일렉(대표 이성 http://dwe.co.kr/)은 국내외 사업장과 협력업체 전 제품의 유해물질을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인 '에코넷(EcoNet)'을 구축했다고 9일 밝혔다.

'에코넷' 시스템은 국내 사업장 뿐 아니라 전 세계 해외법인과 협력업체가 제품 및 부품에 대한 정보를 등록하면 실시간으로 해당 물질에 대한 유해성 평가가 이루어지고, 협력업체에서는 평가 된 정보를 기반으로 환경규제에 대한 리스크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사내 유해물질 분석을 통한 이력 정보 관리를 통해 친환경 제품에 대한 품질관리까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현재 6만 여개가 넘는 부품에 대한 유해 화학물질 정보가 관리되고 있는 이 시스템은 신규 등록된 유해·화학 물질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고, 국내외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글로벌 환경규제에 대한 리스크를 최소화하여 새로운 국제 기준에 효율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대우일렉은 국내외 사업장 및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환경교육과 함께 사내 환경전문가 양성 교육 등을 정기적으로 진행해 왔으며 실제 환경 규제보다 더욱 강화된 사내 관리기준을 바탕으로 환경 친화 제품들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왔다.

특히 대우일렉은 협력업체와의 녹색 상생 체계 강화를 위해 ▶ 환경경영 기반 구축 및 공동 관리 ▶ 협력업체 환경경영 평가 및 지원 ▶ 글로벌 환경관리 정보제공 및 노하우 공유 ▶ Help Desk 운영을 통한 1:1 전문가 지원 등의 노력을 지속해 왔고, 이번에 구축된 '에코넷' 시스템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대우일렉은 이 시스템을 통해 현재 발효된 신화학물질 관리제도(REACH)와 유해물질 제한지침(RoHS) 등에 대응해 나감과 동시에 글로벌 환경 규제 수준보다 더욱 엄격한 기준이 적용된 친환경 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글로벌 무역 경쟁력을 강화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현재 에너지 소비절약이나 대기오염물질 감소 등을 위해 강화된 환경규제는 실질적인 무역 기술 장벽(TBT)으로 작용하고 있고 EU는 올해 새로운 환경규제를 50개, 오는 2020년까지 90여개를 추가한다는 방침이다.

대우일렉 기술담당 이장희 상무는 "최근 EU를 중심으로 제품의 환경 기준이 강화되며 글로벌 무역제재가 증가되는 등 환경규제가 신(新)무역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면서 "제품의 전과정(Life cycle)에서 유해물질을 최소화하고 협력업체와 함께 동반 녹생성장을 도모하여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국내최초로 양문형 냉장고 탄소 성적표지 인증을 획득한 대우일렉은 전제품의 탄소성적 표지인증을 진행 중이고, 매년 환경평가를 통해 우수 협력업체에게 'Green Parter' 인증서를 수여하고 있다.

※ REACH(Registration, Evoluation and Authorization of Chemicals : 신화학 물질 관리 제도)

REACH는 2011년 6월부터 시행될 예정. 화학물질의 양과 위해성에 따라 등록·평가·신고·허가·제한하는 EU의 '신화학물질 관리제도'. 연간 1톤이상 제조 또는 수입되는 화학물질에 대해 등록을 의무화한 법률. 대상 물질에 대해 사전등록을 마쳐야 수출을 계속할 수 있음. 등록 대상 물질은 화학물질, 혼합물 내 각각의 화학물질, 완제품에서 의도적으로 배출되는 각각의 화학물질 등을 포함하고 있다.

※ RoHS(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 특정위험물질 사용제한지침)

납과 수은·카드뮴·크롬 등 중금속 4종과 난연재 2종의 총 6가지 유해물질을 전기전자제품 내에 사용하지 못하게 규정. 물론 이 규격을 만족하지 못하는 제품은 EU내에서 판매할 수 없음. 올 초부터 스칸디나비아 지역의 덴마크·스웨덴·핀란드에 152개 전기전자제품에 대한 점검을 시작으로 강도 높게 시행하고 있다.

매일신문 뉴미디어국 최미화 기자

공식트위터(@dgtwt, 010-3537-9334) 운영

기업체 기사자료 총괄, 제보 환영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