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구제역 재발'확산 않도록 갈무리 철저히 해야

영천에서 구제역 의심 신고가 잇따라 접수됐다. 정부가 구제역 경보 단계를 '경계'에서 '주의'로 하향 조정한 지 얼마 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구제역이 재발하자 농가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자칫 구제역이 다시 확산될 경우 성급한 구제역 해제 조치가 일을 더욱 키운 꼴이 되지나 않을지 우려되는 것이다.

정부는 3월 21일 이후 구제역 신고 가축이 없어 구제역이 진정 국면에 들어간 것으로 판단했다. 지난달 24일 구제역 경보 단계를 심각→경계로, 이달 12일 경계→주의로 연이어 낮췄다. 이에 농가들의 구제역에 대한 경계 또한 느슨해진 것도 사실이다. 그러는 사이 16일 영천시 금호읍 황정리에서 의심 신고가 접수됐고 19일 금호읍 삼호리, 21일 영천시 도남동 양돈 농가에서 의심 증상을 보인 돼지들이 속출해 양성 판정을 받았다.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장관은 20일 부랴부랴 영천시를 방문해 "구제역 재발 상황을 예의 주시하면서 필요할 경우 경보 단계 격상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단 구제역뿐 아니라 모든 병원균의 처치에 있어 예방과 함께 갈무리가 가장 중요하다. 막연히 괜찮을 것이라고 방심한 사이 일이 덧나는 사례는 비일비재하다. 이런 점을 감안해 당국의 즉각적인 대처와 신중한 사후 처리가 요구되는 것이다.

전문가들의 지적처럼 날씨가 따뜻해지면 구제역 바이러스가 사라진다는 인식도 바로잡아야 한다. 추울 때 바이러스 생존 기간이 긴 반면 더울 때는 짧다는 차이가 있을 뿐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다. 향후 2, 3년간 구제역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는 점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된다. 당국은 구제역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방역에 만전을 기하고 꾸준한 예방 백신 접종과 함께 구제역이 완전히 종식된 후에 경보 단계를 낮추는 등 보다 신중하게 대처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