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인화 의병장 생가 110년 만에 복원

구한말 의병장으로 외세에 항거해온 이인화 의병장의 생가인 온계종택이 110년 만에 복원됐다.

이인화 의병장 생가복원추진위원회(위원장 이경희 진성 이씨 대종회 회장)는 최근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 온계종택에서 조순 전 경제부총리를 비롯한 각계각층 인사와 권영세 안동시장, 이삼걸 경북도 행정부지사, 김광림 국회의원, 김백현 안동시의회의장 등 기관'단체장 및 문중 대표, 유림 등 8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이인화 의병장 생가복원 낙성식을 가졌다.

지난 2009년 2월에 착공해 지난 연말에 사업을 완료하고 이날 낙성식을 갖게 된 이인화 의병장 생가복원사업은 국비 4억1천900만원, 도비와 시비 각 3억8천200만원, 자부담 2억1천500만원 등 총 13억9천800만원이 들었다. 부지 1천611㎡에 건평 256㎡ 규모로 사랑채, 안채, 대문채, 삼문, 사당 등 불타기 전의 모습 그대로 건축됐으며, 1896년 일본군에 의한 방화로 사라진 지 110여 년 만에 제 모습을 찾은 셈이다.

이인화 의병장 생가는 온계 선생이 20세 되던 해 노송정 본가에서 분가해 이곳에 집을 지어 정착했고 온계 선생이 성균관에서 수학하는 동안 퇴계 선생이 어머니 춘천 박씨를 모시고 5년간 거처했던 곳이기도 하다.

지암(芝庵) 이인화(李仁和) 의병장은 1858년 퇴계 선생의 중형인 온계 선생의 12대손으로 태어났다. 1895년 명성황후 시해사건이 일어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예안에서 군사를 모아 의병을 일으켰고, 1910년대에는 예안에 선명학교를 설립해 학생들에게 민족정신을 고취시키는 등 계몽운동에 앞장서 오다가 1929년 71세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됐다.

안동'권오석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