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와 민주당이 이명박 대통령과 민주당 손학규 대표 간의 청와대 회담 개최 시기를 둘러싸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청와대는 19일 김효재 정무수석을 통해 29일 개최할 것을 제안했지만 민주당이 앞당겨 줄 것을 요구, 개최 시기와 의제 조율이 난항을 겪고 있다.
특히 민주당 측은 이 대통령이 22, 23일 '한'미 FTA'와 '국방개혁'에 대한 조속한 처리를 요청하겠다며 국회 외교통상위와 국방위 소속 여야 의원들을 청와대로 초청한 것에 대해 "책임 있는 두 분(이 대통령과 손 대표)이 먼저 만나 여러 사안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게 순서"라며 민주당 의원들은 청와대에 가지 않기로 하고 선(先) 영수회담 개최 입장을 분명히 했다. 민주당은 이 대통령의 일정이 바쁘더라도 외교통상위원과 국방위원 오찬을 하기로 한 22, 23일 중에 할 수 있지 않겠느냐며 압박하고 나섰다.
민주당이 이처럼 청와대 회담 시기를 앞당겨줄 것을 요구하고 나선 것은 청와대 회담을 통해 반값 등록금 문제와 전세난 등의 물가문제 등의 민생현안에 대한 실질적인 성과를 거둔 후 6월 국회에서 일괄 처리하겠다는 복안 때문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청와대는 민주당의 이 같은 입장에 '일단 검토해 보겠다'면서도 서두르지 않고 있는 분위기다.
정치권에서는 이처럼 청와대와 민주당이 청와대 회담 개최 시기에서부터 신경전을 벌이면서 의제 조율에도 본격적으로 나서지 못함에 따라 지난 2월에 이어 청와대 회담이 무산되는 것 아니냐는 부정적인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양측이 입장을 좁히지 못할 경우, 7월 초 이 대통령의 해외순방 일정이 계획돼 있어 청와대 회담은 불발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청와대 일각에서는 민주당 측의 진정성을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면서 (회담을) 서두를 필요는 없다는 부정적인 기류도 감지되고 있다.
그러나 모처럼만의 이 대통령과 야당대표 간 회동이 불발될 경우에 대한 정치적 부담이 만만치 않아 양측이 타협에 나설 가능성이 현재로서는 더 높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