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국가신용등급 강등으로 촉발된 글로벌 증시 불안감이 롤러코스터 장세를 연출하고 있다.
글로벌 증시가 하루걸러 급등과 폭락을 오가면서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는 안갯속 형세가 이어지고 있다.
미국과 유럽 시장에 좌우되는 국내 증시 사정은 더 심하다. 지난 며칠간 코스피는 하루에도 수백 포인트의 하락과 상승을 거듭하는 예측 불가능 '변동성'을 보였다.
금융전문가들은 외국인 주식 보유 비중이 높고 무역의존도가 심한 국내 산업구조 특성상 글로벌 환경 변화에 따른 국내 증시 널뛰기 현상이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며 한국 주식 구조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롤러코스터 글로벌 증시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9일(현지시간) 최소 2년간 제로금리를 유지하겠다고 밝히자, 급등세를 보이며 진정 기미를 보였던 미국과 유럽 증시가 10일 또다시 폭락 장세를 보이며 패닉 상태에 빠졌다.
미국에서는 전날 연준의 발표에 대한 비난과 함께 미국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가 다시 터져 나왔고 유럽에서는 프랑스의 신용등급 강등 루머가 나와 시장의 불안을 증폭시켰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 종가보다 519.83포인트(4.62%) 떨어진 10,719.94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도 51.77포인트(4.42%) 내려간 1,120.76을, 나스닥 종합지수는 101.47포인트(4.09%) 떨어진 2,381.05를 각각 기록했다.
유럽 역시 주가 하락세가 완연했다.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5.45% 급락하면서 3,002.99로 마감했고,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도 5.13% 떨어진 5,613.42로 장을 마쳤다.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증시는 전날 연준의 발표와 미국 증시의 급등 영향으로 10일 상승했지만, 11일 열리는 장에는 미국과 유럽 증시의 폭락이 다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글로벌 증시 왜 또 폭락했나…미국'유럽 재정 위기 심화 우려
미국'유럽 증시 폭락은 향후 미국'유럽 경제가 둔화 국면을 피하기 어렵다는 위기감에 기인한 것이다.
로이터 조사에 따르면 내년 중 미국이 또다시 경기 침체에 빠져들 가능성이 지난 11월 같은 조사 때보다 두 배나 높은 평균 30%로 나타났다.
골드만삭스는 연준이 경기부양을 위해 올해 말이나 내년 초 다시 양적 완화(QE) 정책을 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유럽에서는 그리스에 대한 채무 우려가 새롭게 드러난 가운데 프랑스의 국가 신용등급이 강등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이탈리아와 그리스, 스페인 등 재정이 취약한 유럽국가들에 크게 노출된 것으로 알려진 프랑스 은행들의 주가가 폭락했다.
S&P, 무디스, 피치 등 세계 3대 신용평가사들은 프랑스의 신용등급을 현재의 AAA로 유지한다고 밝혔지만, 프랑스 은행주들이 10% 넘게 떨어지는 등 시장의 불안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코스피 변동성 당분간 계속될 듯…국내 주식 시장 구조 바꾸자
한국 증시 변동성은 이번 글로벌 폭락장에서 유난히 두드러지고 있다. 10일 현재 코스피 지수 하락폭(16.31%)은 전 세계 주요국 가운데 러시아에 이어 최대 하락폭을 기록했다. 미국 다우지수(7%)뿐 아니라 한 자릿수 하락률을 기록한 중국'일본보다 훨씬 심했다.
전문가들은 한국 증시 특성상 앞으로도 예측할 수 없는 코스피 변동성이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증시 변동성이 유독 심한 첫 번째 이유는 외국인 주식보유 비중이 지나치게 높다는 데 있다. 증시 위기가 닥칠 때마다 외국인의 자금 유출이 불거져 증시 위기를 오히려 더 심화시키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는 것.
그러나 정부가 외국인에 대한 차별적 규제에 나서기는 어렵다. 국제 금융 규칙에 위반될 뿐 아니라 자칫 외국인 투자 축소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국내 주식 시장의 구조 개선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 유가증권시장 투자 비중은 외국인 33%, 개인투자 21%, 일반법인 28% 순으로, 연'기금 등 국내 기관투자가의 비중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것.
또 우리나라 가계 자산 중 78.6%가 부동산에 몰려, 주식 비중은 단 1.2%에 불과한 수준으로 미국(15%), 캐나다(7%) 등 선진국 수준까지 끌어올려야 한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이와 함께 외환 당국이 외환보유액 확보에 주력하는 한편 위기가 닥치기 전 미리 필요 이상의 외국인 자금 투입을 막는 법적 장치 마련을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태진기자 jin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