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오전 8시30분 사망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건강에 이상신호가 포착된 것은 2008년 9월 초로, 3년 3개월 여 계속되어 왔다.
사망원인은 심근경색, 심장쇼크라고 북한 방송은 밝히고 있다. 북한이 어디로 갈지 전세계가 주목하는 가운데, 김정일 국방위원장을 사망에 이르게한 와병부터 사망까지 알아본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와병이 처음 전파를 탔던 것은 2008년 8월 중순 군부대 시찰을 마지막으로 공개활동을 하지 않았고, 북한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2008년 9월9일 정권 수립 60주년 행사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와병설이 증폭됐다.
일본 소식통도 김정일 사망 사실로 보도하고, 미국 CNN은 중국이 아마도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사망 소식을 미리 알고 있었던 것에 비중을 둔 보도를 하는 가운데, 환율은 급등하고 있고 주식은 폭락하고 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와병설은 3년여 전, 익명을 요구한 미국 정보당국자가 AP통신에 "김 위원장 건강에 이상이 있는 것 같다. 아마도 뇌졸중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한 정보소식통도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뇌졸중 전문의사 2∼3명이 북한에 들어갔다는 첩보가 있어 미 정보당국이 확인 중인 것으로 안다"고 전하면서 본격화됐다.
우리나라에서는 다음날 국가정보원은 국회 정보위원회 업무보고에서 "뇌졸중 또는 뇌일혈로 보이지만 하나로 특정하기는 어려운 상태"라며 "외국 의료진에 수술을 받았고 언어에는 전혀 장애가 없으며 움직일 수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보고하기도 했다.
세계적으로 퍼져나가는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와병설을 막을만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한 북한은 김정일의 은둔 80일 만인 11월2일 북한군 '만경봉'팀과 '제비'팀간 축구경기를 관전했다고 보도했다. 당시 북한은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왼팔과 왼손이 부자연스러운 모습을 사진으로 내보냈다.
김 위원장의 80일 은둔은 역대 두번째. 첫번째 은둔은 김일성 주석이 1994년 7월 사망한 후 조문객을 면담하다 87일간 공식 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것이다.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다시 등장한 뒤 북한 매체들은 '김일성 주석 사망에 따른 100일 애도기간'에 근신했다고 보도했다.
당시 축구 경기 관전 보도 이후 김 위원장은 군부대 시찰, 각종 공연 관람, 각지의 공장·기업소 현지지도, 해외인사 접견 등 와병설이 제기되기 이전에 보였던 왕성한 행보를 보였다. 2008년 11월 북한군 만경봉 팀과 제비 팀 간의 축구 경기 관전 이후, 김정일 국방위원장은 11월 8회, 12월 13회의 공개활동을 소화하며 건재를 과시했다.
2009년 1월 초 김 위원장은 삼남 김정은을 후계자로 내정한다는 교시를 노동당 조직지도부를 통해 하달했다. 다음달 말 북한은 김 위원장이 회령대성담배공장에서 연기를 내뿜으며 담배를 피우는 사진 2장을 포함한 132장의 함경북도 회령시 현지지도 사진을 내보내며 그의 건강이 호전됐음을 암시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뇌혈관 계통 이상에서 어느 정도 회복한 뒤에는 평소 즐겨 신던 '키높이 구두' 대신 공장·기업소 등을 현지지도할 때는 바닥이 편평한 '컴퍼트' 신발을, 산악이나 고지에 있는 군부대 등 험지를 방문할 때는 밑바닥에 고무창을 붙인 운동화의 일종인 '스니커즈'를 신으며 건강을 관리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 그는 2010년 8월 중국 동북지역을 방문하는 동안 두 차례나 야간열차를 이용해 이동하고, 이듬해 5월 말 다시 방중했을 때에는 창춘(長春)에서 장쑤(江蘇)성 양저우(揚州)까지 약 30시간을 쉬지 않고 달리는 등 일주일 동안 6천여㎞를 기차로 이동하며 '건강악화설'을 일축했다.
2011년 8월 러시아를 방문한 김 위원장은 3개월 전 중국 방문에서 보였던 모습과는 다르게 인민복 점퍼가 작아 보일 정도로 배가 다시 나왔고 불편했던 왼손도 어느 정도 사용했지만 왼발을 끌고 피우던 담배를 들고 있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올해 김 위원장은 지난 5월에 중국을 방문한 데 이어 석달여 만인 8월에는 러시아를 방문하는 등 활발한 대외활동을 펼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그러나 끝내 뇌졸중 후유증을 극복하지 못하고 17일 오전 열차 내에서 과로로 사망했다고 북한 매체들이 19일 일제히 보도했다.
댓글 많은 뉴스
'험지 경북' 찾은 이재명 "제가 뭘 그리 잘못을…온갖 모함 당해"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홍준표 "탈당, 당이 나를 버렸기 때문에…잠시 미국 다녀오겠다"
국민의힘, 단일화 추진 기구 구성…"한덕수 측과 협상"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 선출 [전문]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