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9일 미셀 오당(Michel Odent)이란 사람이 대구의 한 산부인과병원에서 강연을 했다. '자연분만과 생후 건강과의 관계'란 주제였다. 프랑스 산과의사인 그는 수중분만의 창시자이며,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분만'이란 의미의 '젠틀 버스'(Gentle Birth) 분야의 거장이다. 그는 2002년 한국을 찾았을 때 제왕절개술 및 의료 개입 분만이 늘어나는 상황을 보고 '한국은 10년 내에 청소년 자살률이 급증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번 주는 미셀 오당이 쓴 '농부와 산과의사'란 책에 대해 얘기하려 한다. 2005년 녹색평론에서 발간한 이 책을 읽었을 때 적잖은 충격을 받았다. 당시만 해도 의사들에게 이 책의 내용을 들려주면 대부분 무관심한 반응을 보였다. 그런데 요즘은 그의 '주장'이 관심을 끌고 있다.
20년 넘게 프랑스 국영병원의 외과 및 산과의사로 일한 생태주의 사상가 미셀 오당은 분만과정 조력 경험과 수많은 의학 연구 결과를 근거로 이 책을 집필했다. 그는 문명의 병을 어떻게 치유할 수 있는지를 '농업'과 '출산'이라는 중요한 두 가지 요소를 갖고 이야기하고 있다. 이른바 '산업영농'으로 말미암은 먹거리의 오염과 영양손실, 그로 인한 인간의 건강과 정서의 파괴, 특히 임신 중 먹거리에 의한 태내 오염은 태어날 아이의 건강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한다고 했다.
또 현재와 같은 출산 방식, 즉 지극히 본능에 가까운 출산이란 행위가 병으로 취급되는 현시점에서, 부자연스런 병원이라는 공간에서 출산할 때 기술적'물리적'약물적 개입은 산모뿐만 아니라 아이의 향후 건강과 정서에 치명적이란 것이다. 나아가 그러한 개인들의 집합체인 사회 전체가 병들어 갈 수밖에 없다는 진단을 내리고 있다. 그래서 생태적으로 건강한 문명의 회복을 위해서도 좀 더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출산, 즉 기술이라는 '폭력'의 개입이 최소한도로 되는 출산 관행의 회복이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그는 임신 중의 태아기와 출산 시, 그리고 태어나서 1년 남짓 동안의 건강상태가 한 개인의 평생에 걸친 건강을 좌우하는 가장 큰 잠재적 원인이라고 했다.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수많은 의료 및 건강과학 연구논문들을 검토한 결과, 태어나는 방식이 개인의 육체적'정신적 건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그 개인이 속한 문화의 성격에도 근원적으로 심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다. 즉 출산 시 기술적 개입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 개인은 보다 공격적 성향의 인간으로 자라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고, 그러한 개인들이 다수를 이루는 사회는 폭력적으로 될 잠재적 경향을 갖고 있다는 것을 '과학적 증거'를 통해 강조하고 있다. 아이를 잉태하려는 부부, 건강한 아이를 낳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소중한 정보가 될 것이다.
김교영기자 kimky@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김상욱, '소년 이재명 성범죄 가담' 주장 모스탄에 "추방해야"…이진숙 자진사퇴도 요구
"전작권 전환, 초기 비용만 35조원"…국힘 '정부 국방정책 점검 토론회'
'성남도시개발공사 조례 청탁' 김만배, 대법서 무죄 확정
특검 압수수색에 권성동 "야당 탄압"…野 "국회의장 메시지 내라"
'전한길 입당' 지적에 신동욱 "민주당도 김어준과 얘기, 친북도 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