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약령시 한방문화축제가 오늘부터 6일까지 약전골목 일대에서 열린다. 올해로 35회째다. 매년 반복하지만 행사 때만 찾는 이가 반짝 늘 뿐 약령시 전체는 점점 쇠퇴하고 있다. 2009년 210곳이던 한방 관련 점포는 지난해 말 181곳으로 줄었다. 이는 지난해 중반, 현대백화점이 입점하면서 주변 상권이 형성되자 임대료가 크게 올라 대부분 임대인 한방 관련 점포가 견디지 못한 탓이다. 그 자리를 주차장과 커피전문점, 식당, 미용소 등이 대신하고 있다.
대구약령시는 조선 중기인 1658년 개설된 국내 최고(最古)의 약령시인데다 도심에 자리 잡고 있어 육성 여부에 따라 관광자원으로 키울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최근에는 인근의 영남대로와 이상화'서상돈 고택, 계산성당으로 이어지는 도심 투어가 큰 인기여서 관광객도 많이 찾는다. 대구시와 중구청은 일대 활성화를 위해 2000년부터 지난해까지 170억 원을 들였고, 2014년까지 153억 원을 더 들여 다양한 편의 시설을 만들 예정이다. 현대백화점 측도 약령시 이용 고객에 대해 주차장 무료 이용과 축제 지원 등 상생을 위한 여러 협조 방안을 모색 중이다.
하지만 이런 노력이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데는 강점이 있지만, 약령시 활성화로 직접 연결되지는 않는다는 데 어려움이 있다. 약령시를 살리려면 약령시가 이익을 추구하는 개인 점포의 집합이라는 뜻보다는 하나의 문화유산이라는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 대구시는 약령시 고유의 분위기를 살리면서 한방 관련 점포를 유지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약령시 살리기'를 추진해야 한다. 또 개별 점포와 공동으로 다양한 상품을 개발하고, 판로를 개척해 대구약령시만의 특성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





















댓글 많은 뉴스
몸싸움·욕설로 아수라장된 5·18묘지…장동혁 상의까지 붙들렸다
李대통령, '내란특검' 수사기한 연장 승인
광주 간 장동혁, 5·18 묘역 참배 불발…시민단체 반발에 겨우 묵념만
이재명 정부 4대강 보 개방·철거 본격화…여야 전운 고조
"北 고 김영남, 경북고 출신 맞나요"…학교 확인 전화에 '곤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