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상북도가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주목받는 항공산업 육성을 경쟁적으로 제각각 추진, 중복투자 소지와 함께 경제협력을 통한 시도 상생 움직임에 역행하고 있다.
대구시는 최근 대전, 경상남도와 공동으로 항공산업 육성계획을 마련해 내년 중 정부 예비타당성조사를 거쳐 국책사업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3개 시도는 IT와 기계산업에 강점이 있는 대구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연구개발(R&D) 기능을 갖춘 대전, 그리고 항공기계 관련 기업이 많이 포진해 항공 기술력을 갖춘 경남 사천이 연계해 블루오션 산업으로 떠오르는 항공산업을 선점하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항공산업은 경북도도 역점 사업으로 육성하고 있는 분야다. 경북도는 2010년 경북테크노파크에 항공우주기술혁신센터를 건립한 데 이어 영천첨단부품소재산업지구(영천산업지구) 내에 항공전자부품 및 시스템 시험평가센터 건립을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지난 9월 세계 최대 항공우주기업인 미국 보잉사와 업무협약을 맺고 영천산업지구에 항공기 수리와 정비, 개조를 위한 MRO(소모성 자재 구매대행)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보잉사와 협력체계를 통해 영천산업지구에 항공전자를 중심으로 하는 항공산업클러스터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항공산업 중 추진 분야도 시도 모두 항공전자가 중심이 돼 중복 투자 소지도 다분하다.
대구시 관계자는 "항공산업이 워낙 방대하기 때문에 모든 분야를 육성하기보다는 3개 시도의 지역별 특성을 살려 항공 IT전자 분야에 특화해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지역 경제계는 물론 지식경제부는 항공산업 육성에서 시도가 지역적 특성과 효율성을 고려해 협력할 여지가 많은데도 서로 주도권을 잡기 위해 소모적인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꼬집고 있다.
대구시와 경북도의 소모적 경쟁은 이전 국책사업에서도 심심찮게 벌어졌다. 2009년 한국뇌연구원을 유치할 당시 대구시와 경북도가 공동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해 사업유치를 희망했다. 하지만 유치 과정에서 양측 간 이견을 보이면서 경북도는 손을 뗐다.
대구경북이 함께 진행했던 첨단의료복합단지 지정도 결국 대구로 입지가 넘어오면서 대구경북이 갈등을 빚었고 광역경제권선도사업을 정할 때 대구경북이 서로 인기 있는 분야를 선점하려다 다툼을 벌이기도 했다.
대구경북연구원 한 관계자는 "대구경북이 협력을 통해 사업을 공동 추진하면 정부로부터 국비 확보 및 관련 인프라 확보가 유리하다"며 "국책사업과 관련해 시도가 통 큰 자세로 교통정리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전창훈기자 apolonj@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