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반년새 3건 '펑'…맹독성 화학물질 사고 '떨고 있는 구미'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산업화 산물인가, 안전불감증인가… 불산·질산·초산·염소…작년 9월부터 릴

5일 염소가스 누출사고가 일어난 구미 국가산업1단지 내 구미케미칼 공장 사고현장 모습. 성일권기자 sungig@msnet.co.kr
5일 염소가스 누출사고가 일어난 구미 국가산업1단지 내 구미케미칼 공장 사고현장 모습. 성일권기자 sungig@msnet.co.kr

'구미국가산업단지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화학물질 누출사고는 산업화의 산물일까, 안전 불감증일까.' 최근 구미에서 크고 작은 화학물질 누출사고가 잇따라 주민 불안감이 커지면서 상당수 주민은 산업화로 인한 위험물질 취급업체의 집적 등 부작용으로 받아들이면서도 기업주 및 작업자들의 안전 불감증과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는 관련법 부실 등을 원인으로 지적한다.

지역경제계는 구미산단의 이미지 추락으로 기업유치 등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우려의 목소리를 내놓으며, 안전의식 및 단속 강화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구미국가산업단지는

1969년 1천42만㎡ 규모의 1단지를 조성, 동아시아 최고의 전자산업단지로 출발한 구미산단은 1981년 2단지(227만㎡) 완공에 이어 3단지(508만㎡), 4단지(678만㎡)를 잇따라 조성하면서 내륙 최대 수출 전초기지로 성장하며 우리나라 경제 성장에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 '일자리를 찾으려면 구미로 가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구미산단은 지역경제 부흥과 지역발전을 이끌어왔다. 또 최근 5단지(1천만㎡) 조성공사가 본격화되면서 구미산단의 전체 면적은 3천455만㎡로, 전국 기초자치단체로는 1위이다. 구미산단의 입주 기업체는 1천700여 개사, 근로자 8만8천여 명으로 생산액은 75조원이다. 지난해 수출 실적은 345억달러로 우리나라 전체 수출의 7%를 차지했으며, 특히 무역수지 흑자는 286억달러로 우리나라 전체 무역수지 흑자의 79%를 차지해 구미산단은 한국경제의 심장부임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잇따르는 화학물질 사고

구미는 공업화'도시화로 엄청난 경제성장과 지역발전을 이뤘으나 최근 산업화의 산물인 산업재해 등 각종 안전사고가 잇따르면서 불안감 호소와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지난해 9월 구미4단지 내 불산 누출사고는 사망 5명, 병원치료 2만여 명, 재산피해 500여억원 등 환경재앙적 수준의 피해를 냈다. 또 이달 2일엔 ㈜LG실트론 구미 2공장에서 불산'질산'초산이 혼합된 혼산 누출 사고가 발생한 데 이어 5일엔 구미1단지 내 ㈜구미케미칼에서 맹독성 염소가스 누출 사고가 발생해 160명 이상이 병원치료를 받고 있다. 최근 6개월 만에 3건의 화학물질 누출사고가 발생한 것이다.

◆대책은 없나

구미시에 따르면 구미산단 내 불산'질산 등 유독물 취급업체는 136개소. 그러나 이들 중 상당수는 종업원 10명 미만의 소규모 영업장들이다. 현행법과 제도에 의하면 유독물 취급업체는 화학물질 배출, 이동량 정보 등에 대해 환경부의 조사를 받고 공개하도록 하는 등 환경부의 안전관리를 받도록 돼 있으나, 이는 종업원 30인 이상인 업체에만 적용된다. 최근 지방자치단체와 대구지방환경청, 소방서, 안전보건공단 등 관련 기관이 합동점검을 벌여 26개 위반업체를 적발하고 관리를 강화했는데도 사고가 잇따라 주민들은 당국의 단속도 못 믿겠다는 반응이다.

산업안전관리자 및 전문가들은 화학물질 사고는 소규모 업체에서 발생하더라도 대형 참사로 이어지는 만큼 관리감독 대상을 종업원 5인 미만 소규모 업체까지 확대하고, 등록제에서 허가제로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구미지청 이윤태 산재예방지도과장은 "다각도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지만 잦은 사고에 예방에 한계가 있음을 느낀다"며 "작업근로자와 사업주들이 스스로 안전의식을 강화하는 자세가 아쉽다"고 말했다.

구미경실련 조근래 사무국장은 "정부와 국회가 적극적으로 나서 화학물질 누출사고를 예방하고 단속을 강화할 수 있는 관련법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구미상공회의소 김종배 사무국장은 "산업화의 산물이라고 보기엔 사고가 너무 잦아 구미산단의 이미지 추락으로 기업유치 등에 차질을 빚지 않을까 우려스럽다"며 "구미와 같은 공단도시에는 위험관리 및 재난방지시스템을 구축해야 하며, 인재에 가까운 사고들은 무마보다는 공론화해서 대책을 만들어가는 시스템이 필요하다"고 했다.

구미'이창희기자 lch888@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