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이 잇따라 멈춰 서면서 극심한 전력난에 따른 고강도 비상 계획과 절전 캠페인이 연일 긴박하게 펼쳐지고 있다. 하지만 대규모 정전 사태에 대비한 정부의 절전 대책이 과연 면밀하고 효율적인지 재점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방치된 비상발전기나 에너지 절약에 대한 민간의 낮은 인식 등 취약점이 노출되면서 과연 이렇게 허술한 비상 대책으로 위기를 넘길 수 있느냐는 의문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블랙아웃이 가시화되면서 이전에 비해 에너지 절약에 대한 국민의 자세가 달라지고 전체적인 위기감도 한층 높아진 것은 사실이다. 민간 부문의 각종 절전 캠페인과 자발적 협조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불편한 점이 많지만 공공 기관에 대한 절전의 강제성도 불가피한 상황이다. 하지만 이런 절전 다이어트에도 여전히 미진한 부분이 많고 비상 계획에도 큰 허점이 있다는 점에서 정부는 다시 한 번 취약점을 점검해 면밀한 대비책이 되도록 재고해야 한다.
유사시에 대비한 비상발전기의 방치 문제는 좋은 예다. 상용 전원이 끊길 경우에 대비한 75㎾ 이상 용량의 비상발전기만도 대구에 1천700기가 넘는다. 문제는 상당수 비상발전기가 노후화되고 제대로 관리가 안 돼 태반이 무용지물이라는 점이다. 실제 재작년 9'15 정전 대란 당시 전국의 비상발전기 60% 이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보고도 나왔다.
이처럼 허점이 곳곳에 드러나는데도 정부가 현 비상 대책을 심각하게 고려하거나 개선하지 않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당시 일본은 정부 주도의 물샐틈없는 절전 대책으로 위기를 넘겼고 지금도 같은 강도의 절전책을 유지하고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당장 기존 비상 계획에서 빠진 부분은 없는지 재점검하고 제대로 된 에너지 종합 대책을 시행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