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와 박근혜 대통령은 25일 국정원이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전문을 '일반문서'로 재분류 해 전격공개한 데 대해 공식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청와대 관계자는 "우리는 아무런 입장이 없다"며 "청와대가 허락할 문제가 아니고 국정원의 일이라는 기존 입장은 그대로"라며 말을 아끼는 분위기였다.
청와대는 국정원이 대화록을 전격공개한 것을 청와대와 연결지으려는 야당의 시각에 대해서는 적잖게 부담스러워하는 듯 했다.
특히 정상회담 대화록 전문 공개가 향후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다만, 박 대통령은 24일 이정현 홍보수석을 통해 국정원의 대선개입 사건에 대해서는 오랜 '침묵'을 깨고 처음으로 말문을 열었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이날 오전 서한을 보내 '국정원 대선개입 국정조사'를 수용하라고 압박을 가한 것에 대해 답변을 내놓은 것이다.
이 수석은 "대통령이 '국가정보원에 그런 문제가 있었다면 여야가 제기한 국정원 관련 문제들에 대해 국민 앞에 의혹을 밝힐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나 그 절차에 대해서는 대통령이 나설 문제가 아니다"라며 "그것은 국회가 논의해서 할 일"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국정원 댓글사건에 대해서 왜 그런 일이 생겼는지, 왜 그런 일을 했는지 전혀 알지 못한다"라며 "대선 때 국정원이 어떤 도움을 주지도 국정원으로부터 어떤 도움도 받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는 자신과는 전혀 무관한 일이라는 점을 강조함으로써 '박근혜정부의 정통성'을 거론하기 시작한 야권의 공세를 일축하려는 언급으로 해석되고 있다.
제1 야당 대표가 공개서한을 보낸 데 대해 침묵할 경우,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27일부터 시작되는 중국 방문 이전에 국내 문제를 어느 정도 정리할 필요성도 느낀 것으로 관측된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야권이 국정원의 대선개입 의혹에 대해 장외집회에 나서면서 고강도 대여투쟁을 본격화하려는 시점에서 나온 것이어서 주목되고 있다.
결국, 박 대통령은 최근 논란이 되는 국정원의 대선개입 문제에 대해서는 정치권에 해법을 맡기면서 확실히 거리를 두는 한편 2007년 남북정상회담 NLL(북방한계선) 관련 대화록 문제는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 것이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