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초를 잘 기르기는 일반적인 원칙은 이렇다.
첫째, 난실(난을 기르기 위한 공간)의 환경이 중요하다. 지난주에 언급한 대로 난실의 특성을 잘 파악해 단점을 최대한 보완해 주어야 난이 잘 자란다.
둘째는 난을 잘 골라야 한다. 뿌리가 썩었거나 잎이 마르거나 잎에 반점이 있는 등 부실한 난을 구입해서는 안 된다. 무심코 얻어오거나 선물 받은 난은 조심해야 한다. 이상이 있으면 치료를 철저히 해야 하고 치료하기 전에 난실이나 사무실에 들여 놓아서는 안 된다.
셋째는 포도당을 만들어야 한다. 난초는 탄수화물(포도당)을 스스로 만들어 이를 에너지화해 자란다. 사람이 매일 하루 3끼 밥을 규칙적으로 먹어야 살 수 있듯 난초도 일정량의 포도당을 만들어야 한다. 채광량이 부족하거나 광합성 조건이 좋지 않게 되면 난초는 영양이 나빠져 자람이 둔해지고 면역력도 저하되어 아름답고 충실한 꽃을 피울 수 없게 된다. 수명도 짧아지고 잎의 자태도 좋지 않게 된다. 실제로 상당수 사무실의 동양란은 대부분 광합성량이 부족해 늘 허기진 상태에 있다. 광합성은 조도 4천~6천 룩스(햇볕 또는 전등)로 매일 4~6시간 정도 채광시간이 필요하며 충분한 물이 공급되어야 잘 된다.
넷째는 물 공급이다. 해가 긴 여름에는 매일 주는 것이 중요한데 이때 물뿌리기로 20초 이상씩 흠뻑 주어 분 속의 난 뿌리가 물을 흠뻑 흡수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용기에 담가 침지시키는 방법의 수분 공급은 바람직하지 않다. 병이 든 화분이 다른 화분으로 병을 전염시킬 수 있다. 다섯째는 분갈이를 잘해줘야 한다. 1년에 1, 2번 해주어야 한다. 분갈이는 기본적 상식이 있어야 하는데 잘 모르면 난 클리닉센터에 맡기면 된다. 난초를 죽이는 뿌리썩음병을 조기에 발견해 수술하거나 치료를 해 주기 위해서다. 분갈이를 하면서 뿌리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여섯째는 온도 유지다.
겨울철에는 5~8℃ 정도 유지해야 한다. 동양란은 저온에 민감하기 때문에 겨울철 냉해나 동해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이대건(난초 명장)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