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초저금리 시대, "단 0.1% 수익률이라도 확보"…재테크 어떻게 해야 좋을까? 궁금증U

초저금리 시대 사진. SBS 뉴스 캡처
초저금리 시대 사진. SBS 뉴스 캡처

초저금리 시대

초저금리 시대가 현실화하면서 재테크에도 지각변동이 일고 있다.

금융권에 따르면 기업은행은 지난 25일 중국 국영은행의 신용과 연계한 사모펀드의 투자자를 모집했는데, 최소 가입금액이 1000만 원으로 적지 않은 금액임에도 접수 5분 만에 판매한도 100억 원이 모두 소진된 것으로 전해졌다.

같은 날 모집한 주가연계펀드(ELF)도 판매 개시와 동시에 100억 원 어치가 모두 팔렸다. 유럽 주가지수가 하루 10% 이상 폭락하지 않는 한 연 3.8%의 수익률을 보장하자 투자자들이 몰려들었다.

또한 국민은행이 지난 21일 내놓은 목포 산업단지 조성 관련 기업어음(CP)은 410억 운의 판매 한도가 이틀 만에 모두 소진됐다. 연 3.4%의 높은 금리에 목포시가 사실상 원금을 보장하는 상품이기에 인기를 끌었다.

초저금리 시대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초저금리 시대, 돈 모으기 정말 힘들다" "초저금리 시대, 진짜 어떻게 돈 모아야할지 모르겠어" "초저금리 시대, 왜 경제는 좋아지지 않는 걸까" 등의 반응을 보였다.

한편, 전문가들은 은행 예금 기본 금리가 연 1%대로 떨어진 초저금리 시대에 은행 예·적금만을 믿는 재테크 전략은 무의미하다고 지적했다. 사모펀드, 외화예금, 기업어음, ELS, 저축은행 예금 등 단 0.1%P의 수익률이라도 더 확보할 수 있는 상품을 찾아 발품 파는 고객들만 높은 금리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시대가 왔지만, 초저금리 시대 속 높은 금리 혜택을 누리기 위해 원금 손실이나 중도 환급 여부 등은 철저하게 따져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뉴미디어부01 maeil01@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