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미군이 대구 남구 캠프워커에 아파트형 숙소 건립을 계획하고 있어 '주한미군 공여지 반환'이라는 남구의 숙원 사업이 물 건너갈지 모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짐 브래드포드 주한미군 대구기지사령관은 지난달 29일 남구의회가 미군부대를 방문한 자리에서 "캠프조지에 있는 중학교를 캠프워커 안으로 옮기려고 터를 닦아둔 상태다. 또 캠프워커에 아파트형 숙소를 추가로 지어 6년에 걸쳐 영외 거주자를 부대 안으로 이주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미군 측은 다음 달 중 캠프워커에 중학교 건물에 착공해 2016년 12월쯤 완공할 계획이다. 또 내년 7월쯤 캠프워커에 90가구가 입주할 수 있는 15층짜리 아파트형 숙소 1동을 지어 2017년 여름쯤 완공할 예정이다. 아파트형 숙소 추가 건설 일정은 아직 설계 예산이 확보되지 않아 미정이다.
이 같은 미군 측의 계획은 부대 이전을 기대하는 인근 주민들에게 불안감을 주고 있다. 이러다 자칫 부대 이전이 힘들어지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대명5동에 사는 차모(74) 씨는 6개월 전 캠프헨리 내 공사 근로자로부터 캠프워커에도 공사가 있을 것이란 소식을 들었다. 그는 당시만 해도 이 말을 허투루 들었다. H-805 헬기장 부지 반환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어 점차 부대 규모가 축소되리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차 씨는 "미군부대가 곧바로 떠난다고 이전될 거라고는 생각하진 않았지만, 미군 측이 헬기장을 반환하면서 부대 이전도 불가능하진 않으리라 생각했다"며 "하지만 미군들이 영내에 아파트형 숙소를 건립하는 것을 생각하면 장기간 철수 계획이 없는 것이 아닌지 의구심이 든다"고 말했다.
시민단체 활동가들도 미군 측의 결정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김선우 대구경북진보연대 집행위원장은 "우리 정부가 미군에 제공하는 주둔비용이 캠프워커에 짓는 아파트 공사비가 되는 셈이다. 결국 미군부대 인근 주민들이 오랫동안 재산권 행사를 못 해 피해를 보면서 낸 세금으로 미군에게 번듯한 집을 지어주는 꼴이다"고 했다. 또 다른 진보 활동가는 "미군이 공여지를 반환할 때 우리 정부에서 보상금을 줘야 하는데 언젠간 미군이 반환해야 할 땅에 15층짜리 아파트를 짓는다는 건 '알박기'한다는 것으로 비춰진다"고 했다.
미군 측의 계획에 대해 남구청과 남구의회도 뾰족한 수를 찾지 못하고 있다. 주한미군 공여지 내 건물을 신축할 때 담당 구청에 건축 허가를 받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배문현 남구의회 의장은 "현실적으로 미군부대 이전을 위해 지방자치단체와 기초의회가 압박을 가하긴 어렵다"며 "미군 측이 캠프조지에 남겨두기로 한 초등학교도 캠프워커로 옮기고 캠프조지라도 반환받으면 지역이 발전할 수 있는 길이라 생각한다"고 했다.
한편 남구에는 캠프워커, 캠프헨리, 캠프조지 등 미군기지 3곳이 있다. 이들 3곳 면적만 108만7천900㎡ 규모로 남구 전체 주거'상업지역의 10%를 차지한다. 또 남구 전체 면적의 6.2%, 재산세 과세면적의 14.5%를 차지할 정도로 범위가 넓다.
홍준표 기자 agape1107@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