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 정부통합전산센터가 대구로 온다.
대구시는 8일 "다른 시'도와 치열한 경쟁을 벌였던 '제3 정부통합전산센터'의 최적지로 대구가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시는 제3 전산센터가 대통령 핵심 공약사항인 'SW융합산업클러스터 활성화' 사업과 지역 ICT산업 발전 등 지역 경제 활성화 거점 역할을 위한 핵심 앵커기관으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생산유발 효과 7천여억원, 부가가치유발 2천여억원, 고용유발 4천269명 등 대구 경제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파급 효과도 막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뿐 아니라 제3 전산센터에는 상주 인력 600여 명이 근무할 것으로 보여 가족 등 4천여 명의 인구 유입 효과도 기대되고, 센터 운영을 위한 단기 프로젝트, 유지'보수 등 수요에 따른 지역 ICT기업 고용 창출과 소득 증대, 관련 분야 우수 인재의 결집, 지역 인재 유출 감소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제3 전산센터는 대구에 들어서는 첫 '가'급 국가보안목표시설이어서 의미를 더하고 있다. 가급 국가보안시설로는 청와대 청사, 국정원 청사, 원자력발전소, 공항 등이 있다.
대구의 경우 휴전선과 해안선에서 떨어진 분지형 내륙 도시로 보안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 또 자연재해 노출도가 낮고, 소방방재청이 실시한 지자체 지역 안전도 평가에서도 1등급 도시로 평가받는 등 안전성을 인정받았다. 특히 유치 예정지(동구 도학동)는 팔공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어 시내보다 평균기온이 3, 4℃ 낮아 전산센터 입지로 최적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정부기관의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보안장비 등 정보자원을 통합 운영'관리하는 안전행정부 산하 기관으로, 현재의 제1센터(대전), 제2센터(광주) 전산실 사용면적이 2017년 초엔 포화 상태가 될 것으로 예상돼 제3 정부통합전산센터 건립이 추진되고 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제3 정부통합전산센터 대구 유치는 대선 공약사업인 'SW융합산업 클러스터' 조성 사업과 '연암드림앨리'(경북도청 이전 터) 조성 사업 등을 연계할 수 있어 지역 ICT산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국가적 측면에서도 대전-광주-대구를 잇는 국가과학기술 및 데이터 삼각 벨트 구축으로 ICT기반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호준 기자 hoper@msnet.co.kr
[영상뉴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