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인 경주 중·저준위 방폐장(이하 방폐장)이 28일 데뷔 신호탄을 울렸다.
1986년 부지 선정에 나선지 30년 만이다. 이로써 우리나라도 1978년 고리 원전 1호기 가동을 시작한 지 38년 만에 원자력 폐기물을 자체 처분할 수 있게 됐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이날 경주시 양북면에 위치한 중·저준위 방폐성폐기물 처분장(이하 방폐장)에서 1단계 처분시설 준공식을 열었다.
이날 행사에는 황교안 국무총리와 김관용 경북도지사, 문재도 산업부 차관, 최양식 경주시장, 시민 등 1천여 명이 참석했다.
황교안 국무총리는 "방사성 폐기물 처분시설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해 만들었다. 앞으로도 한치 허점이 없도록 운영하겠다"며 "국가적 안전과제 해결에 결단을내려준 경주 시민들에게 감사하다"고 밝혔다.
경주 방폐장은 214㎡ 규모 지하동굴로 27층 높이에 건물 6동이 들어선 것과 맞먹는다.
미국, 프랑스 등 해외 주요 국가에 중·저준위 방폐장이 들어섰지만 지하동굴 처분 형태는 우리나라와 핀란드,스웨덴 뿐이다.
지난달 13일 첫 방사성폐기물 16드럼(드럼당 200ℓ)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896드럼을 처분했다.
처분한 방사성폐기물은 모두 한울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한 옷, 장갑, 종이 등 잡고체다.
방폐장 지하동굴 안 높이 50m의 사일로에는 방사성 폐기물 10만 드럼을 처분할 수 있다.
앞으로 고리,한빛,한울 원자력발전소의 임시 저장고에 보관 중인 방사성폐기물을 전용 운송선박과 트럭으로 수송해 방폐장에서 영구 처분한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80만 드럼 처분을 목표로 시설을 추가로 건설할 계획이다.
또 2019년까지 표층 처분방식으로 12만5천드럼을 처분하는 2단계 시설을 짓기로 했다.
이종인 한국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은 "경주 방폐장은 국제원자력기구 IAEA 등에게서 안정성을 인정받았다"며 "국민 누구나 안전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실시간 방사선관리 수치를 공개하고 학생 체험 프로그램 등으로 방폐장을 개방·운영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