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과서 국정화 논란으로 불거진 대치 정국이 22일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의 회동을 통해서도 좀처럼 풀리지 않으면서 냉랭한 정국이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박근혜 대통령과 김무성 새누리당'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원유철 새누리당'이종걸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 등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최근 현안과 관련해 5자 회동을 가졌으나, 역사교과서 국정화 문제'노동개혁 방식'민생경제 해법 등에 대해 팽팽한 입장차만 확인한 채 만남을 끝냈다.
박 대통령은 이날 "(한국사) 교과서 문제는 집필진 구성이 안 됐고 단 한 페이지도 쓰여지지 않은 상황 아니겠냐"며 "건전한 역사의식을 배워야 할 학생들에게 패배주의를 가르쳐서야 되겠나, 이걸 바로잡자는 뜻"이라고 말했다.또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위한 균형잡힌 역사교과서가 꼭 만들어져야 한다. 그런 차원에서 이해해 달라"고 국정화에 대한 의지를 강하게 표명했다.
문재인 대표는 이에 앞서 "국민은 국정교과서를 친일미화, 독재미화 교과서로 생각한다. 획일적인 역사교육을 반대한다"며 "역사교과서의 국정화 추진을 중단하고 민생과 경제를 돌봐달라"고 촉구했다.
문 대표는 특히 5자 회동 직후 "박 대통령과 김무성 대표의 역사인식이 상식과 너무 동떨어져 일치되는 부분이 없었다. 절벽 같은 암담함을 느꼈다"고 말해 이날 회동에서 팽팽한 입장차만 확인했음을 시사했다.
다만 이날 회동에서 청년 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 등이 시급하다는 데 대해서는 인식을 같이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이날 야당과 국회에 대해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연내 비준 및 경제'민생법안 조속 처리 ▷내년도 예산안 시한내 처리 ▷노동개혁 입법 마무리 등을 요청했다.
문 대표는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 중단을 비롯해 ▷공공 일자리 확대 ▷청년고용할당제의 민간 적용 ▷공공임대 10% 수준 확대 ▷전월세 안정화 등을 촉구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